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경제/행정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3월 식량가격지수가 전월 보다 2.3% 상승한 212.8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이는 전년 동월과 대비하여 0.97%(2.1 포인트) 낮은 수치이다. 유제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군의 가격지수가 오름세를 보인 가운데, 곡물과 설탕의 가격지수가 각각 전월 대비 5.2%, 7.9% 올라가면서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 올렸다.
 * 식량가격지수: (2013.3월)214.8→(7월)207.5→(12월)205.8→(2014.1월)202.5→(2월)208→(3월)212.8

45336d277be32f99486614dc24e871f6.jpg
연도별 식량가격지수 [자료제공=농림축산식품부]


곡물은 2월(195.8 포인트) 보다 5.2% 상승한 205.8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이는 전년 동월(240.5 포인트) 대비 14.4% 낮은 수치이며, 세계적 곡물 수입량 증가, 미국(중남부) 및 브라질 지역의 기상악화에 대한 우려 및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곡물 선적 불확실성에 따른 것이다. 밀과 옥수수 가격이 상승했으며 쌀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유지류는 2월(197.8 포인트) 보다 3.5% 상승한 204.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팜유 가격이 올라가면서 전체 유지류의 가격지수 상승을 견인했으며, 이는 동남아시아의 지속적인 건조한 날씨에 대한 우려에 기인한 것이다. 특히, 최대 팜유 생산국인 말레이시아의 재고량 감소와 최대 수출국인 인도네시아의 국내소비량 증가에 따라 팜유 가격이 상승하였다.

설탕은 2월(235.4 포인트) 보다 7.9% 상승한 253.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설탕 가격 상승은 브라질, 태국의 생산량 감소와 연말 기상악화에 따른 사탕수수 생산 감소 전망에 따른 것이다.

육류는 2월(182.3 포인트) 보다 1.5% 상승한 185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쇠고기, 돼지고기 생산 감소 우려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고 가금육 및 양고기 가격도 소폭 상승하면서 육류 가격지수를 끌어 올렸다.

유제품은 2월(275.4 포인트) 보다 2.5% 하락한 268.5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유제품 수요 감소, 특히 중국내 수요 감소 및 러시아의 교역 감소 우려에 따른 것이다. 또한, 뉴질랜드 및 북반구의 양호한 생산여건에 따라 수출 공급량이 증가하였다.

2013/14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전월 대비 0.25%(6백만톤) 상승한 2,521백만톤으로 전망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9.3% (214백만톤) 높은 수치다.

세계 곡물 생산량 전망은 잡곡 및 쌀 생산량 증대가 예상됨에 따라 전월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올해 곡물 생산량 국가별·품목별 조기 전망이 상이하여 예측이 쉽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c98fdab1f64201fd641f616b127f92a3.jpg 


주요 곡물 생산량 전망치는 쌀1.1%(5백만톤), 밀8.5%(56), 잡곡13.2(152) 증가(전년대비)로 2013/2014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421백만톤으로 전망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4%(94백만톤) 증가한 수치다.

사료용 옥수수 소비량 급증에 따라 잡곡 소비량이 증가하였다. 밀 소비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쌀 소비량은 식용 소비량 증가에 따라 전년대비 2.5% 증가한 490백만톤으로 전망하였다.

2013/2014년도 세계 곡물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15.6%(78.7백만톤) 증가한 582백만톤으로 전망하였다.
 * 주요 곡물 기말재고율 전망치: 쌀3.2%(6백만톤), 밀13.7%(22), 잡곡30.2%(51) 증가 (전년대비)












어니스트뉴스 web@honestnews.co.kr
저작권자ⓒ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 2개월 연속 상승↑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3월 식량가격지수가 전월 보다 2.3% 상승한 212.8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이는 전년 동월과 대비하여 0.97%(2.1 포인트) 낮은 수치이다. 유제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군의 가격지수가 오름세를 보인 가운데, 곡물과 설탕의 가격지수가 각각 전월 대비 5.2%, 7.9% 올라가면서 전체 가격지수를 끌어 올렸다. * 식량가격지수: (2013.3월)214.8→(7월)207.5→(12월)205.8→(2014.1월)202.5→(2월)208→(3월)212.8 연도별 식량가격지수 [자료제공=농림축산식품부] 곡물은 2월(195.8 포인트) 보다 5.2% 상승한 205.8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이는 전년 동월(240.5 포인트) 대비 14.4% 낮은 수치이며, 세계적 곡물 수입량 증가, 미국(중남부) 및 브라질 지역의 기상악화에 대한...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