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사회


부제 : 사회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각종 복지사업에 있어 부정·중복수급을 예방하기 위한 ‘복지정보 공유시스템’이 구축되어 28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이로써 그 동안 부처별로 흩어져 관리되던 복지관련 정보들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복지사업 대상자 선정시점부터 복지급여의 부정수급이나 중복수급을 사전에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었다.

 

‘복지정보 공유시스템’은 복지사업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행정안전부가 개발한 것으로 현금이 지급되는 복지사업(9개 부처 111종)을 연계함으로써 복지사업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1301286137.jpg

‘복지정보공유시스템’ 시스템 개념도

 

이 시스템에는 첫째, 각 부처에서 시행하는 복지사업들의 기본정보와 통계자료를 사업담당자들에게 통합제공하여, 복지정책 기획단계에서부터 중복사업 기획을 방지하는 ‘복지사업 현황정보 제공기능’
둘째, 개인이 각 부처로부터 제공받은 복지서비스 실적을 복지사업 심사담당자에게 제공하여, 복지대상자 선정심사 시 중복지급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서비스 실적정보 조회기능’
셋째, 관계부처 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복지사업 대상자 선정에 필요한 각종 자격(증빙)정보를 공동이용하여, 민원인이 제출할 구비서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격정보 연계기능’ 등이 구현되어 있다.
 * 구비서류 감소 : 69종 → 17종 (52종 감소)

 

장광수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장은 “복지정보공유시스템이 복지사업 담당부서에서 잘 활용되고 정착된다면 국가 복지예산의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민원 만족도가 향상되어 국민들의 복지 체감도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향후 모든 부처 복지사업을 대상으로 복지정보 연계를 확대하는 ‘2단계 연계사업’을 2011년 5월부터 12월까지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2단계 연계사업에서는 현물·바우처 등 비현금성 사업은 물론, 간병도우미 등 무형서비스 복지사업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정부가 지원하는 모든 복지사업에 대해 상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아울러, 자치단체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하는 복지사업들도 모두 조사·분석하여 DB화하고, 기존의 정부포털들을 이용해 국민들이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수혜자 중심의 복지정보 종합제공서비스’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어니스트뉴스 honest-news@kakao.com
저작권자 ⓒ 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각, 이명박 정부 국무총리 김태호 발탁, 유인촌 장관 교체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이명박 정부는 출범후 최대 규모의 개각을 단행했다. 이번 개각의 최대 관심사인 국무총리는 김태호 前경상남도 도지사가 발탁됐다. 김태호 국무총리는 고향(거창)에서 농림고교를 졸업하고 서울농대로 진학하여 교육학 박사학위까지 받은 농민의 아들로서, 어려운 환경과 여건을 특유의 성실함과 도전정신으로 극복, 36세에 도의원, 40세에 전국 최연소 민선 군수를 역임하였고, 42세에 도지사 선거에 당선·연임에 성공하여 젊은이들에게 성취에 대한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지방행정의 CEO로 재임하는 동안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힌 각종 현안들을 과감한 결단력과 추진력으로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따뜻하고 진솔한 리더십으로 서민생활의 복지와 공...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