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사회


부제 : 사회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색의 따뜻하고 차가운 느낌(색온도)을 제어할 수 있고, 태양광과 같은 자연광에 더욱 근접하여(연색성 지수) 눈에 피로도도 줄일 수 있는 백색 LED(발광다이오드)가 국내 연구진의 순수 원천기술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고려대 김태근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 연구)과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연구 결과는 전기전자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세계 전기전자학회지(IEEE 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 9-10월호 표지논문(9월 1일)에 선정되었다.

 

김태근 교수팀은 박막형(필름형) 형광체가 집적된 단일칩 백색 LED 개발에 성공하였다. 특히 이 LED는 기존의 높은 효율은 유지하면서도, 지금까지 효율을 높이지 못했던 적색의 형광체 효율을 높여 따뜻한 느낌의 백색광을 연출하고, 자연광과 유사한 빛을 내어 눈의 피로도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백색 LED는 백열등과 형광등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조명기술에 비해 낮은 전력과 긴 수명의 장점으로 차세대 조명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휴대폰, 노트북, LED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백라이팅(Back Lighting)의 모든 색깔을 그대로 구현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하다.

 

(a) 기준 샘플과 (b) 유로피움 실리케이트 박막형 형광체가 집적된 샘플에 대한

LED 소자 구조 및 발광 특성 결과: 박막형 형광체가 집적된 샘플에서의 발광 특성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준 샘플에서 관찰되지 않은 중심파장 560 nm 영역에서 피크가 관찰됨. 

 

기준 샘플과 유로피움 실리케이트 박막형 형광체가 집적된 샘플 백색 LED에 대한

CIE 1931 색도 다이어그램 비교 결과: 박막형 형광체가 집적된 백색 LED의 경우

색온도가 5606K으로 기준 샘플에서 측정된 특성(색온도=8467K)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음. 

 

지금까지 백색 LED는 일본, 독일 등이 특허권을 소유한 청색 LED에 분말형태의 형광체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세계적으로 이 기술에 대한 특허분쟁이 고조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효율(낮은 전력, 긴 수명)은 높지만, 적색의 형광체 효율이 낮아 차세대 감성조명 개발에 필요한 따뜻하고 균일도가 높은 백색광을 얻는데 한계가 있었다.

 

김 교수팀은 기존의 백색 LED와 같이 효율이 높고 전기광학적 특성은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분말형태의 형광체 없이도 하나의 칩으로 따뜻하고 차가운 백색 빛을 연출할 수 있는 백색 LED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우리 자체 기술로 차세대 감성조명을 개발하여 세계 조명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김 교수팀의 이번 연구결과로 ‘감성조명’이라 불리는 차세대 조명을 우리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2015년 5조원 규모에 달하는 세계 조명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김태근 교수는 “현재 일본, 독일의 소수 기업만이 발광효율이 우수한 형광체 제조 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자체기술로 독창적인 원천기술특허를 확보하고 백색 LED를 개발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번 연구결과로, 차세대 조명인 감성조명을 개발하는 토대를 마련하여, 우리나라가 세계 조명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고효율 백색 LED(light-emitting diode)는 백열등 및 형광등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조명기술에 비해 저 전력, 장수명의 장점을 앞세워 차세대 조명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백색 LED는 주로 청색 LED에 황색의 YAG(yttrium aluminum garnet) 형광체를 접목시킨 형태로, 차가운 성질을 지녀, 대부분 색온도(correlated color temperatures, CCT)가 6000~8000K정도이고, 연색성 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가 80 이하이기 때문에, 주로 LCD나 핸드폰 등 소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백라이트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백색 LED가 차세대 조명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시감도를 고려하여 색온도 6000K 이하, 연색성 지수 80 이상의 특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황색/적색 영역에서의 형광체 효율 향상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파우더 형태의 YAG 형광체는 600 nm 파장영역에서 낮은 변환효율을 가지며, 에폭시 수지 사용으로 인해 황색 및 적색 영역에서의 변환효율이 작다. 또한, 파우더 재료 특성상 색 제어 및 균일도 확보의 어려움과 여기광이나 열에 의한 열화현상 등의 문제점이 있다.

 

김태근 교수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먼저, 유로피움 실리케이트 기반의 박막형 형광체 제조방법에 대한 원천특허(한국특허등록: 10-799859)를 확보하고, 이 물질을 청색 LED칩에 성공적으로 집적함으로써, 연색성 지수 및 색온도 특성 제어가 용이한 백색 LED 개발에 성공하였다. 우선, 560 nm 영역에 중심파장을 갖는 유로퓸 실리케이트 박막형 형광체를 청색 LED에 집적하여 백색 LED를 만들었을 때 색온도=5606K, 연색성 지수=77.6로, 기준 샘플에서 측정된 특성 (색온도=8467, 연색성 지수=66.52)에 비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형광체 분야에는 많은 특허가 출원/등록되어있으며, 니치아(YAG), 오스람(TAG), 도요타고세이(실리케이트/BOSE), 인터메틱스(실리케이트/BOSE2), 미츠비시 화학(실리케이트/BOSS) 등의 소수 기업만이 발광효율이 우수한 형광체의 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기술진입 장벽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은 형태의 독창적인 원천기술 연구가 기존 선진 그룹에서의 특허 이슈를 회피할 수 있고, 상업화를 위한 산업재산권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번 연구 결과의 자세한 내용은 전기전자 광소자 분야 최고의 권위지인 IEEE JQE(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 9월호에 게재되었으며, 9-10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어니스트뉴스 honest-news@kakao.com
저작권자 ⓒ 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G20 대비 해상보안 민·관 합동훈련 실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국토해양부(정종환 장관)는 오는 11월 개최되는 G20를 대비하여 선박테러 및 해적공격으로부터 우리 선원, 선박 및 화물의 피해를 예방하고, 유사시 신속 대응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민·관 합동 종합훈련을 약 3개월간에 걸쳐 실시한다고 밝혔다. 종합훈련은 우선 9월 14일 부산 한진해운(28층 대강당)에서 최근 선박에 대한 테러·해적공격 현황 및 국가대응체계와 선박의 피해 예방·대응 훈련시나리오, 선박보안 장비·기술 등을 집중 교육하는 사전교육을 시작으로, 10월~11월 2개월간 한국국적 외항선박(약 600척)에 대한 전파 교육 및 선상 훈련, 선박보안경보(SSAS) 작동훈련 등을 실시하게 된다. * 사전교육 참가 : 국토부, 국방부, 외교부, 농식품부 해운업계 등 150 여명 ...  
국내 순수 원천기술로 박막형 형광체가 집적된 단일칩 백색 LED 개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색의 따뜻하고 차가운 느낌(색온도)을 제어할 수 있고, 태양광과 같은 자연광에 더욱 근접하여(연색성 지수) 눈에 피로도도 줄일 수 있는 백색 LED(발광다이오드)가 국내 연구진의 순수 원천기술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고려대 김태근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 연구)과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연구 결과는 전기전자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세계 전기전자학회지(IEEE 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 9-10월호 표지논문(9월 1일)에 선정되었다. 김태근 교수팀은 박막형(필름형) 형광체가 집적된 단일칩 백색 LED 개발에 성공하였다. 특히 이 LED는...  
창덕궁 향나무 종묘제례 향으로 사용된다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소장 권석주)는 제7호 태풍 ‘곤파스’의 영향으로 부러진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 가지를 종묘제례(宗廟祭禮)나 기신제(忌晨祭) 등 궁능 제향행사에 사용토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창덕궁의 향나무는 750여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문화적 가치가 높아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관리 되어왔다. 전체 높이 12m였던 향나무는 9월 2일 새벽 서울경기지역을 강타한 태풍으로 인해 지표 4.5m높이에서 부러지고 말았다. 부러진 향나무 가지의 소생 가능성에 대해 관계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은 결과 목질부 일부가 붙어 있긴 하나 수피가 떠있어 다시 소생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되어 절단 조치를 하게 되었다. 절단면에 대해서는 외과수술을 통해 추가...  
부산시 홈페이지, 전 세계 순위 44% 급상승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부산시 홈페이지(http://www.busan.go.kr/)가 전 세계 사이트의 순위를 집계하는 Alexa.com에서 4개월여 만에 317,543위에서 178,582위(8월말 기준)로 껑충 뛰어올랐다. 부산시에 따르면 프로모션(홍보) 시작 전인 지난 4월과 대비하면, 8월 현재 외국어 홈페이지 일평균 방문자 수가 대폭 증가(중국 73%, 일본 31%, 미국 26%) 하였으며, 특히 지난 8월 해외 소셜사이트(4,105개 사이트)를 통한 뉴스배포 서비스를 시행한 결과 ‘부산축제’ 뉴스의 노출횟수는 23,780회이며, 조회(읽힌) 수는 1,492회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시가 부산을 알리기 위해 지난 5월부터 미국·중국·일본에 검색엔진 프로모션을 실시한지 불과 4개월만의 성과이다. 그 동안 부산시는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  
팔당호 하천내 농지를 생태 복원하여 '국민의 품으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팔당지역이 재탄생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한강살리기 사업으로 농경지로 사용되던 팔당호 주변지역이 자연과 사람이 함께 어우러지는 생태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되며, 수질개선을 통한 맑은 물 공급은 물론 시민들의 여가 및 휴식 공간 제공으로 지역경제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팔당지역은 수도권 2,000만 시민의 주요 식수원인데도 일부 특정인들이 점유하여 영농행위를 함으로써 식수원을 오염시켜 왔으나, 이번 한강살리기 사업을 통해 본래의 하천 모습을 찾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본 국가하천 부지에서 경작하는 팔당 유기농민들은 첫째 유기농이 친환경적이고, 둘째 경작지역이 ‘11.9월 세계유기농대회 개최 지역이며, 셋...  
추석 연휴 4,949만명 이동 … 작년대비 2.9% 증가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정부는 오는 9월 18일부터 26일까지 9일간을 추석연휴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국민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고향을 다녀 올 수 있도록 관계기관 합동으로 특별교통대책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교통대책기간(9일간)중 전국 예상이동인원은 총 4,949만명(10,342만 통행), 1일평균 550만명(1,149만 통행)으로 전망되었다. * 통행(trip) : 한 목적을 위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을 의미 이는 작년 추석 대비(1,117만 통행/일) 2.9% 증가, 평시 대비(674만 통행/일) 70.5% 증가한 수치이다. * 조사기관 : 한국교통연구원, 8.19~24(22일 제외), 8.30~31, 전화설문조사 * 조사표본 : 총조사 세대수 6,800세대(신뢰수준 95%, 표본오차 ±1.19%) * 이동인원 증가사유 : 최근 ...  
9.13 '세계 최초 외해 건설' 거가대교 해저 침매터널 최종 연결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우리나라 최초의 해저 침매터널이 마침내 완성되었다. 부산시는 부산­거제간의 통행시간 및 통행거리 단축으로 물류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이 기대되는 ‘부산-거제간 연결도로(이하 거가대로)’ 건설 공사구간 중 최대의 난공사로 알려진 해저 침매터널이 9월 13일 최종 연결된다고 밝혔다. 이번에 연결되는 해저 침매터널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는 것으로, 세계적으로도 외해에 건설되는 것은 최초이다. 더구나 해당지역은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을 수 없는 깊은 바다수심(48m), 낙동강 하구의 초연약 지반, 가덕수로의 빠른 조류 등 악조건을 가진 곳으로, 거가대교 사업구간 중 가장 어려운 공사 구간으로 여겨졌다. 부산 - 거제간 연결도로 위치도 사진=부산시 이러한...  
태종대 자유랜드 철거, 주차장·휴식공간으로 변신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주말이면 심한 교통정체와 주차난을 겪어오던 태종대 주변에 새로운 주차장과 시민 휴식공간이 마련된다. 위치는 태종대 정문 주변 자유랜드 부지로, 부산시설공단(이사장 마선기)은 태종대를 찾는 시민들에게 휴식공간 제공 및 주차불편 해소를 위한 2단계 조성공사 중 1단계 공사를 마무리하였다고 밝혔다. 태종대 자유랜드 부지 조성전 태종대 자유랜드 부지 휴식공간 완공후 지난 2월 착공한 이번 공사는 총 부지면적 18,650㎡ 중에서 시민 휴식공간(3,450㎡) 및 주차장(6,900㎡/114면)을 자연친화적인 잔디블록 포장으로 조성하였으며, 9월 11일부터 차량이 많은 토·일·공휴일에 시민들에게 개방한다. 그리고 유원지입구 기존 주차장(제1주차장)을 버스전용 주차장(26면)으로 전환하여 관...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