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사회


부제 : 사회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2013년도 서울대·KAIST를 비롯한 12개 국내대학과 미국·영국·일본·중국·러시아 등 12개국 30개 유수대학에서 수학 중인 106명의 육군 장교들이 첨단·전문 학문분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다.

육군의 위탁교육생들은 군인 특유의 집중력과 강인한 정신력으로 연구 활동에 매진해 왔으며, 그 결과 전반기 국내대학 졸업생들(55명)의 경우 대외 우수논문상 수상(12건), 국내·외 유수 학회지/저널 논문 게재(53건), 국내·외 학회 발표(35회), 특허출원/등록(10건), 세계 인명사전 등재(1명) 등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다.

3d9f58aced1d48ddcfc6619dbbb597bf.jpg
KAIST 기계공학 석사과정 소령 이상욱(학군 40기)     [사진제공=대한민국 육군]
‘극미량(micro-volume) 시료 분석장비’ 특허출원

특히 KAIST 기계공학 석사과정 이상욱 소령(학군 40기)이 특허출원 준비 중인 ‘극미량(micro-volume) 시료 분석장비’의 경우 현재 전량 수입해서 쓰고 있는 외국산 장비와 비교했을 때, 비용 면에서 훨씬 저렴하면서도 성능 면에서는 오히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향후 폭발·유해물질 탐지장비 등 군 무기체계/장비개발 분야에 활용이 기대된다.

86bcad0364d8a3aad2514d83e0bdac71.jpg
연세대 산업공학 박사과정 소령 배영민(육사 54기)
세계 3대 인명사전 등재(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13년도)

연세대 산업공학 박사과정 배영민 소령(육사 54기)은 뛰어난 연구 성과로 세계 3대 인명사전에 등재되는 등 육군 위탁장교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서남표 전 KAIST 총장은 “군인 신분으로 세계 최고의 연구중심 대학인 KAIST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졸업하는 군 위탁장교들에게 축하를 보내며, 앞으로도 軍과 KAIST 발전을 위해 더 많은 군 위탁장교들을 만날 수 있기를 희망 한다”며 위탁장교들의 우수성을 높이 평가했다.

서울대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이정동 교수는 “군 위탁장교 1명이 30~40명의 학생들을 열정적 연구 분위기로 바꿔놓는 리더십에 놀랐다”며 “앞으로도 가급적 많은 군 위탁생들이 서울대로 왔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현재 육군은 대령이하 약 2,000여 명의 석·박사 전문 인력들이 각 분야에서 국방정책 추진의 핵심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ADD 및 KIDA 등 각급 연구기관에서 군 전력 향상을 위해 매진하는 한편, 국제협력 분야에서도 대한민국과 군을 대표해서 맹활약 중에 있다.

향후 육군은 급변하는 국방환경 및 기술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적정수준의 국내·외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지속 추진해 나가는 한편, 창끝부대 전투력 향상 및 부사관 정예화를 위한 국외군사교육 과정 확대, 간부들의 실질적인 직무능력 향상과 자기계발을 지원하는 능력개발교육  체계의 획기적인 개선 등 「육군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교육체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어니스트뉴스 web@honestnews.co.kr
저작권자ⓒ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업이 겪는 채용 어려움 1위는 ‘인재 부족’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취업난이 심각하다지만, 기업의 고충도 만만치 않다. 적합한 인재를 발굴하기 쉽지 않은 데다, 이탈로 인한 변수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업 10곳 중 7곳은 채용 진행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249개사를 대상으로 ‘채용 시 어려움을 겪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73.1%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답했다. 채용 시 겪는 어려움으로는 ‘특정직무 인재 부족’(42.9%,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고, ‘지원자수 적음’(40.7%)이 바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채용 후 조기퇴사자 많음’(27.5%), ‘허수 지원자 발생’(23.6%), ‘전형 중 이탈자 발생으로 진행 차질’(14.3%), ‘체계적 채용 ...  
기업, 핵심인재 별도 관리한다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기업 절반은 일반 직원들과는 별도로 핵심인재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168개사를 대상으로 ‘별도로 관리하는 핵심인재 여부’를 조사한 결과, 45.2%가 ‘관리하는 핵심인재가 있다’라고 답했다. 핵심인재로 분류되는 직원 비율은 전체 직원 10명 중 1명(평균 13%) 수준이었다. 핵심인재가 가장 많은 직급은 ‘과장급’(29%), ‘부장급 이상’(25%), ‘대리급’(23.7%), ‘차장급’(15.8%), ‘사원급’(6.6%) 순이었다. 이들 기업이 보유한 핵심인재 유형은 ‘전문지식을 보유한 유형’(53.9%, 복수응답)이 1순위였고, ‘높은 성과를 내는 유형’(46.1%)이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적극적이고 열정적인 성향의 유형’(36.8%...  
수도군단 육주환 병장,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창의적이고 발전가능성이 있는 인재를 선발·육성하기 위한「2013년 대한민국 인재상」수상자 100명(고등학생 60명, 대학생 40명) 중 현역군인으로는 유일하게 육군 수도군단에 복무 중인 육주환 병장(24세, 연세대 경제학과 2학년)이 선정되었다. 지금까지 軍 입대 전「대한민국 인재상」에 도전하여 현역 군인 신분으로 수상한 인원은 있었으나, 현역 복무 중 지원하여 수상한 인원은 육 병장이 최초다. 이는 작년부터 휴학생들에게도「대한민국 인재상」도전의 기회가 열리면서 가능하게 된 것이다. [사진제공=수도군단] 육 병장은「대한민국 인재상」지원 시 ‘육군 영어 어학병 합격’(지방병무청, 2012) 서류와 ‘교육과정 우수자 표창’(육군훈련소, 2012), ‘장병대상...  
육군, 조직 발전에 기여할 석·박사급 인재 양성 추진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2013년도 서울대·KAIST를 비롯한 12개 국내대학과 미국·영국·일본·중국·러시아 등 12개국 30개 유수대학에서 수학 중인 106명의 육군 장교들이 첨단·전문 학문분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다. 육군의 위탁교육생들은 군인 특유의 집중력과 강인한 정신력으로 연구 활동에 매진해 왔으며, 그 결과 전반기 국내대학 졸업생들(55명)의 경우 대외 우수논문상 수상(12건), 국내·외 유수 학회지/저널 논문 게재(53건), 국내·외 학회 발표(35회), 특허출원/등록(10건), 세계 인명사전 등재(1명) 등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다. KAIST 기계공학 석사과정 소령 이상욱(학군 40기) [사진제공=대한민국 육군] ‘극미량(micro-volume) 시료 분석장비’ 특허출원 특히 KAIST 기계공학 석사과정 ...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