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TV/연예뉴스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이번 주 방송되는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현지취재와 각국의 항공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이번 아시아나 214편 충돌사건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파헤친다. 이를 통해 비정상적인 고도와 속도로 비행하여 발생한 이번 사고의 실체에 한걸음 더 다가가고자 한다고 제작진은 전했다.

5eba7532f1f4e5f2f9c35f81650b6995.jpg
[사진제공=SBS]

지난 7월 6일 오전 11시 27분 경(현지시간) 인천공항을 출발한 아시아나 214편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착륙 준비 중이었다. 291명의 승객들과 16명의 승무원. 총 307명이 탑승했다. 그 어느 때보다 좋았던 샌프란시스코 공항의 날씨까지. 착륙을 위한 모든 조건은 완벽했다. 그런데...

"창밖으로 바다를 보고 있었어요. 그때 저는 비행기가 아주 낮다는 걸 알았어요"

"비행기가 확 뒤집어진 거 같은데 뭔지 잘 모르겠어요. 땅에 부딪쳤어요"- 탑승객

착륙을 앞둔 비행기가 갑자기 기울어지는가 싶더니 창문에 바닷물이 튈 정도로 고도가 낮아졌다. 조종석에서는 곧장 복항(GO-AROUND)을 시도했지만 낮아진 고도와 속도는 회복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았다. 결국 비행기 꼬리와 동체가 활주로에 차례로 부딪치며 추락했고, 3명이 사망하고 180여명이 부상을 당했다.

항공기의 위치 추적 분석 결과, 모든 것이 정상이었던 아시아나 214편은, 충돌 34초전부터 속도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16초 전부터는 착륙 기준속도보다 현저하게 느리게 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종사들이 급히 속도를 높이고 비행기 머리를 들었을 때는 고도가 너무 낮아 비행기 꼬리 부분이 제방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수 없었다. 충돌 34초전 아시아나 214편엔 무슨 일이 발생한 걸까? 비행기는 왜 비정상적으로 낮은 고도에 느린 속도로 활주로에 접근했을까? 이 부분이 이번 아시아나 214 충돌사고를 둘러싼 의문의 시작점이었다.

▶기체결함인가, 조종사 과실인가?

NTSB(美 연방교통안전위원회)는 조종실 음석기록장치 분석은 물론 관계자 면담 등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충돌 약 9초전까지 (조종석에서는) 속도에 관한 언급이 없었다"  - NTSB 관계자

그리고 연이어 보도된 NTSB의 조사 결과 발표는 조종사의 과실로 무게가 실리는 듯 한 내용이었는데... 하지만, 국내 항공전문가들은 항공사고는 수많은 변수들에 의한 것이므로 무조건 조종사의 과실로 분위기를 조장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반박에 나섰다. 현재 B777을 운행하고 있다는 한 조종사는 "샌프란시스코 공항은 워낙 번잡해 관제탑과의 교신이 원활하지 않는 곳이다." "활주로 사정으로 착륙이 까다롭다"며 이번 사고에도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거라 조심스레 말했다.

▶충돌 직전, 조종실에선 무슨 일이?

실제로, 아시아나 214편 조종사는 NTSB 조사에서, "자동속도 유지 장치(오토 스로틀)를 적정속도인 137노트(시속 254km)에 맞춰 놨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사고기는 충돌 34초 전부터 착륙 권장 속도보다 느려진 것이다 만약 사고기 조종사의 말이 사실이라면, 기체결함의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NTSB는 추후 조사 결과 발표에서, 사고기의 '오토 스로틀' 스위치가 위로 올라가 있는 상태 다시 말해 '작동가능'상태였음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것이 '오토 스로틀'이 작동 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덧붙였다. '스위치는 켜져 있었지만 작동 중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이 말은 무슨 뜻일까? 충돌 직전 사고기 조종실에선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NTSB의 신속한 조사 결과 공개, 그 이유는?

NTSB는 사고 발생 이후 매일 브리핑을 열어 사고 조사 결과와 조종사 면담 내용 등을 공개했다. 항공 전문가들은 NTSB가 괌 추락사고때 2년 넘게 걸려 발표한 수준의 정보를 일주일도 안 돼 쏟아내고 있다며 놀라워했다. 비행기 사고 조사에 신중하기로 유명한 NTSB인데 이번 조사는 이례적으로 속도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 최대 조종사 노조인 국제민간항공조종사협회(ALPA)도 "NTSB가 기내 녹음장치 등 세부 데이터를 공개하는 것은 당혹스럽다"며 "사고 현장 조사가 진행되는 중에 이렇게 많은 정보가 공개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했다. 아울러 "이런 정보 공개가 잘못된 결론을 이끌어 내 조사에 차질을 빚은 경우가 있었다"며 최종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까 우려하는 시각을 내비췄다.











어니스트뉴스 web@honestnews.co.kr
저작권자ⓒ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그것이 알고싶다, 아시아나 214편 충돌사건 미스터리 추적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이번 주 방송되는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현지취재와 각국의 항공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이번 아시아나 214편 충돌사건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파헤친다. 이를 통해 비정상적인 고도와 속도로 비행하여 발생한 이번 사고의 실체에 한걸음 더 다가가고자 한다고 제작진은 전했다. [사진제공=SBS] 지난 7월 6일 오전 11시 27분 경(현지시간) 인천공항을 출발한 아시아나 214편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착륙 준비 중이었다. 291명의 승객들과 16명의 승무원. 총 307명이 탑승했다. 그 어느 때보다 좋았던 샌프란시스코 공항의 날씨까지. 착륙을 위한 모든 조건은 완벽했다. 그런데... "창밖으로 바다를 보고 있었어요. 그때 저는 비행기...  
김규철, 발효가족 ‘미스터리’ 종지부 찍는다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빠담빠담....그와 그녀의 심장박동소리>에서 주검사 역을 맡아 정우성의 살인 누명을 벗기는데 활약한 배우 김규철이 JTBC수목 미니시리즈 <발효가족(극본 김지우, 연출 박찬홍, 제작 MI, MWM)>에 특별 출연한다. 김규철의 특별출연은 박찬홍 감독과의 인연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마지막회의 중요한 키워드가 되는 인물을 캐스팅하던 중, 그 역에 배우 김규철이 적격이라고 생각한 박찬홍 감독이 직접 전화를 걸어 출연이 성사되었다는 후문. KBS 드라마 <부활>에서 박찬홍 감독과 호흡을 맞춘 바 있는 김규철은 박찬홍 감독의 부름에 망설임 없이 출연을 결정했다고 한다. <발효가족>에 카메오로 출연한 김규철 [사진제공=MI] 김규철이 <발효가족> 마지막회에서 분하는 것은 현숙(정애리...  
발효가족, 미스터리 불붙으며 인기 높아져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JTBC 개국특집 수목 미니시리즈 <발효가족(극본 김지우, 감독 박찬홍, 제작 MI, MWM)>이 숨겨놨던 비밀들을 하나씩 파헤치면서 재미를 더해가고 있다. 맛있는 드라마 <발효가족>은 초반부터 미스터리를 이끌어갈 치밀한 복선을 곳곳에 깔며 한시도 방심할 틈을 주지 않아 시청자들의 흥미를 이끌어내 찬사를 받은 바 있다. 미스터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5, 16회에서는 송일국의 과거, 음모를 비롯해 정애리와 최용민 사이의 불신, 숨겨져 있던 최재성의 비밀까지 공개되면서 긴장감을 높였다. [‘발효가족’ 방송화면 캡쳐] 지난 방송에서는 호태(송일국 분)가 보육원 원장의 세뇌교육에 의해 어릴 적 일에 대해서는 전혀 기억하지 못 하고 '기호태'로 살아왔다는 것과 호태 아버지의...  
미스터리 학원물 '정글피쉬2', 그 세번째 이야기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지난 첫방이후 미스터리 학원물의 특성과 SNS 실시간 참여기능을 결합한 <정글피쉬2>는 인터넷과 휴대폰으로 무장되어 끊임없이 소통하는 10대들에게 맞춤한 독특한 재미를 선사하고 있다. 회오리 바람에 휩쓸려 정글에 떨어져 버린 물고기 처럼 잘못된 장소에 갇혀 힘겨워하는 모든 10대들의 현실을 그대로 녹여내 청소년들의 호응을 받고 있는 '정글피쉬2' 그 세번째 이야기가 전개된다. 미스터리 학원물 정글피쉬2 사진=KBS < 3부 줄거리 > 호수는 정선생을 찾아가 효안이 투신한 날 밤 무슨일이 있었냐고 추궁한다. 뜻밖에도 정선생은 효안이 자기를 스토킹했다며, 증거자료를 보여준다. 한편 보호관찰중인 바우는 자퇴생의 비애를 겪다못해 독립을 결심하고 목돈을 ...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