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경제/행정

2014-May-21

면접 감점 버릇 1위는 ‘시선 회피’

2014.05.21 11:09:13


부제 : 취업직장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아무런 생각 없이 하는 습관적인 버릇들이 취업과 멀어지게 만들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기업 10곳 중 7곳은 면접에서 지원자의 버릇을 보고 감점 및 불이익을 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262명을 대상으로 “면접에서 지원자의 무의식적인 버릇 때문에 감점 및 불이익을 준 적 있습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66%가 ‘있다’라고 답했다.

특히 ‘대기업’(81.8%)이 ‘중소기업’(65.8%)보다 감점 및 불이익을 더 많이 주고 있었다.

876547635edecd1ba96fa93291af7abb.jpg

감점 및 불이익을 주는 버릇으로는 ‘밑을 보고 이야기 하는 등 시선 회피’(59%,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고, ‘말 끝을 흐리거나 늘려 말하기’(56.1%)가 바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몸을 비틀거나 다리 떨기’(46.2%), ‘구부정한 자세로 앉기’(28.9%), ‘다리를 쩍 벌리거나 꼬기’(27.2%), ‘이리저리 두리번거리기’(27.2%), ‘손톱이나 입술 뜯고 깨물기’(23.7%), ‘아, 에... 등 불필요한 추임새’(18.5%), ‘볼 부풀리거나 입 씰룩거리기’(14.5%), ‘머리를 만지는 등 잦은 손동작’(13.9%) 등의 순이었다.

이런 버릇을 갖고 있는 지원자에게 감점 및 불이익을 주는 이유로는 ‘자신감이 없어 보여서’(49.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선택했다. 계속해서 ‘주의가 산만해 보여서’(43.9%), ‘신뢰도가 떨어져서’(41.6%), ‘집중력이 부족해 보여서’(39.9%), ‘기본이 되어 있지 않은 것 같아서’(31.8%), ‘정서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 같아서’(23.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실제로 이들 중 81.5%는 지원자의 버릇 때문에 탈락시킨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렇게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면접에서 지원자의 무의식적인 버릇을 ‘지적해 준다’는 응답은 35.5%로 ‘그냥 넘어간다’(64.5%)의 절반 수준이었다.

한편, 인사담당자들은 구직자들이 습관적인 버릇을 고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자신감 있는 태도’(41.6%)를 꼽았다. 이밖에 ‘집중력 향상’(21.4%), ‘마인드컨트롤’(16.8%), ‘모의면접 등으로 버릇 확인’(14.9%) 등이 있었다.












어니스트뉴스 web@honestnews.co.kr
저작권자ⓒ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면접 감점 버릇 1위는 ‘시선 회피’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아무런 생각 없이 하는 습관적인 버릇들이 취업과 멀어지게 만들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기업 10곳 중 7곳은 면접에서 지원자의 버릇을 보고 감점 및 불이익을 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262명을 대상으로 “면접에서 지원자의 무의식적인 버릇 때문에 감점 및 불이익을 준 적 있습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66%가 ‘있다’라고 답했다. 특히 ‘대기업’(81.8%)이 ‘중소기업’(65.8%)보다 감점 및 불이익을 더 많이 주고 있었다. 감점 및 불이익을 주는 버릇으로는 ‘밑을 보고 이야기 하는 등 시선 회피’(59%,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고, ‘말 끝을 흐리거나 늘려 말하기’(56.1%)가...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