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TV/연예뉴스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꽃게 맛이 가장 좋다는 봄, 제철 꽃게는 짭조름하면서도 달달한 맛이 일품인데다 필수 아미노산과 칼슘, 특히 타우린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영양 면에서도 뒤지지 않는다.

봄이 되면 서해안 일대는 꽃게잡이 어선들로 성황을 이룬다.

제철 봄 꽃게를 잡기 위해 바다로 나간 10명의 선원들은 ‘어획물 운반선’이 조달해주는 생필품을 받아 바다에서의 생활을 이어간다. 꽃게 성어기인 4월 초부터 선원들은 풍랑주의보가 뜨거나 기계 고장 등의 이유가 아니면 육지로 돌아가지 않고 바다에서의 생활을 이어나간다. 이 같은 생활은 6월 중순 금어기까지 계속된다. 선원들은 약 5천여 개의 통발을 준비해 20군데 이상의 어장에 내리고, 다시 올리는 일을 반복한다.

하지만 강풍과 파도로 조업은 지체되고, 배가 고장 나는 바람에 잠수부까지 동원해야 상황이 발생하고 만다. 그리고 연이어 계속되는 강풍으로 인해 선장은 육지로 배를 돌린다.

바람이 잦아들고 다시 바다로 나간 이들은 곧바로 조업을 시작한다. 그러나 통발이 엉키고 밧줄이 끊어지는 사고로 배 안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흐른다. 무엇하나 녹록치 않은 뱃일이지만 선원들은 위험한 상황 속에서도 서로를 챙기며 가족처럼 지낸다.

40년 경력의 선장부터 바다 일에 처음 뛰어든 26살 새내기 어부까지. 만선의 꿈을 안고 배 위에 오른 선원들은 매일 강도 높은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하루에 3~4시간 쪽잠을 자고, 인간의 한계를 시험하듯 고된 육체 노동을 견디며, 가족과 떨어져 외로움도 이겨내야 하는 어부들의 치열한 꽃게잡이 현장, 누군가의 식탁에 올라갈 싱싱하고 맛있는 제철 꽃게를 낚기 위한 어부들의 치열한 24시간을 소개한다.

24835288691290188-vert.jpg
[사진제공=EBS]












어니스트뉴스 web@honestnews.co.kr
저작권자ⓒ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혁, ‘꽃게살 집념’ 때문에 식객 허영만에게 잔소리 들은 사연은? file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 오늘(19일) 오후 7시 50분 방송되는 TV CHOSUN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서는 천의 얼굴을 가진 배우 장혁과 함께 근교 나들이 명소이자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강화도를 찾는다. 사슴 같은 눈망울의 장혁은 한번 마음에 든 돼지국밥 식당을 한 달 반 동안 40번이나 갈 만큼 한 가지에 빠지면 끝을 보는 ‘집념의 사나이’다. 이날 식객 허영만은 외로운 기러기 아빠로 지내며 따뜻한 음식이 그리운 신세인 장혁을 위해 꽃게탕을 대접한다. 장혁이 꽃게살에 집념을 보이며 일일이 젓가락으로 발라내는 모습에 식객은 참다못한 잔소리를 터뜨린다. 결국 식객은 “꽃게 제대로 먹는 법을 알려줄 수 밖에 없었다”라며 훈훈한(?) 에피소드를 선사한다. ...  
악역계의 신 스틸러, 장광과 함께한 전남 진도의 '꽃게 밥상' file
[HNN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손시훈 기자] 오늘(31일) 밤 8시에 방송되는 TV조선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서는 성우계의 대가이자 배우계의 감초 장광과 함께 활력 넘치는 맛의 보물을 찾아 진도 봄 바다로 떠난다. 영화계 악역 계보에 한 획을 그은 장광이 <백반기행>을 찾았다. 영화 ‘도가니’에서 대한민국을 섬뜩하게 한 교장 선생님 역을 맡았던 그는 “워낙 악랄한 역할에 고민도 많았지만, 가족들의 격려에 힘입어 도전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장광은 “모르는 사람에게 맞을 뻔한 적이 있다”며 명품 악역 연기의 후폭풍까지 털어놓아 현장에 웃음을 안겼다. 장광의 가족은 배우인 아내 전성애부터 개그우먼이자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며 유쾌한 매력을 발산하고 있는 딸 미자, 연...  
극한직업, 15시간의 기다림 ‘서해안 꽃게잡이’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꽃게 맛이 가장 좋다는 봄, 제철 꽃게는 짭조름하면서도 달달한 맛이 일품인데다 필수 아미노산과 칼슘, 특히 타우린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영양 면에서도 뒤지지 않는다. 봄이 되면 서해안 일대는 꽃게잡이 어선들로 성황을 이룬다. 제철 봄 꽃게를 잡기 위해 바다로 나간 10명의 선원들은 ‘어획물 운반선’이 조달해주는 생필품을 받아 바다에서의 생활을 이어간다. 꽃게 성어기인 4월 초부터 선원들은 풍랑주의보가 뜨거나 기계 고장 등의 이유가 아니면 육지로 돌아가지 않고 바다에서의 생활을 이어나간다. 이 같은 생활은 6월 중순 금어기까지 계속된다. 선원들은 약 5천여 개의 통발을 준비해 20군데 이상의 어장에 내리고, 다시 올리는 일을 반복한다. 하지만 강풍...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