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사회


부제 : 사회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염색체 분열, 심혈관계 발달 등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Ubr1 단백질의 한 부분(UBR박스)의 구조와 기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져,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 예를 들면, 염색체 분열, 세포자멸사(apoptosis),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복제, 산화질소 인식, 식물체 발달(노화), DNA 수복, 감수분열, 심혈관계 발달 등

 

고려대 송현규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과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전문지인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지(Nature Structural and Molecular Biology)’ 온라인 속보(9월 13일자)에 게재되었고, 연구의 중요성과 독창성을 인정받아 ‘소식과 전망(News & Views)'에 별도로 소개되는 영예를 얻었다.

 

고려대 생명과학부 송현규 교수(서 있는 사람)가 연구원과 함께 UBR박스 단백질을

3D-그래픽을 이용해 분석하고 있다. 구조생물학 분야에서는 입체안경을 쓰고 3D-이미지를

보는 것이 오래 전부터 보편화되어 있다.  사진=교육과학기술부 


고려대 송현규 교수팀은 Ubr1 단백질의 한 부분인 UBR박스가 지금까지 알려진 어떤 단백질과도 유사하지 않은 특별한 구조를 갖추고 있고, 이러한 특이한 구조로 기질에 있는 아미노-말단의 양(+)전하를 특이하게 인식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 기질(氣質, substrate) : 효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분자
    * 아미노-말단 : 단백질은 수많은 아미노산(amino acid)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처음의 아미노산

 

Ubrl 단백질은 세포 분열 등에 관여하는 매우 중요한 단백질(E3 유비퀴틴- 리가제) 중에 하나로서 가장 처음 특성이 밝혀졌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구조 정보가 전무하여, 학계에서는 이 단백질이 세포 내에서 어떻게 기질을 인식하는지 규명하고자 노력해왔다.
    * E3 유비퀴틴-리가제 : 수명을 다한 단백질에 달라붙어 단백질 분해 과정에 참여하여 분해되어야 하는 기질을 표지하는 매우 중요한 단백질인 유비퀴틴을 어느 기질에 붙일 것인가 결정하는 마지막 반응을 담당함

 

송 교수팀은 UBR박스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 접힘(folding)의 형태를 갖추고 있고, 인체의 Ubr1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심각한 정신발달장애(요한슨-블리자드 증후군)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Ubr1 돌연변이 중에 하나가 UBR박스에 존재하는 아연(Zn) 결합 아미노산 잔기이며, 아연의 형태도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완연히 다른 삼차원 구조를 갖추고 있음을 밝혀냈다.
    * 아미노산 잔기(殘基, residue) : 20개의 아미노산은 모두 아미노기와 카르복시기가 존재하는데 그 나머지를 ‘잔기’라고 하고, 곁사슬(side chain)을 나타냄. 곁사슬에 따라 무슨 아미노산인지 결정되고, 산성, 염기성, 친수성(극성), 소수성(비극성)의 네 가지 종류로 구분됨.

 

또한 연구팀은 특별한 UBR박스의 구조로 인해, 아미노-말단에 양전하를 띠고 있는 기질들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생화학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1989년 Ubr1 단백질을 최초로 발견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알렉산더 발샤브스키(Alexander Varshavsky) 교수는 “지금까지 10여개의 미국 실험실에서 Ubr1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노력해왔으나 진척이 없었는데, 송 교수의 이번 연구는 비록 전체 Ubr1 단백질이 아닌 한 부분(UBR박스)이지만, Ubr1 단백질을 이해하는 중대한 첫 걸음을 내딛는 중요한 결과”라고 논평하였다.

 

송현규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Ubr1 단백질이 관여하는 수많은 세포 생리학 반응의 분자적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생체 내 아미노-말단 기질을 찾고 이해하는데 기반을 마련하였다” 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어니스트뉴스 honest-news@kakao.com
저작권자 ⓒ 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심혈관계 발달 등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 부분(UBR박스) 구조 최초 규명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염색체 분열, 심혈관계 발달 등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Ubr1 단백질의 한 부분(UBR박스)의 구조와 기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져,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 예를 들면, 염색체 분열, 세포자멸사(apoptosis),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복제, 산화질소 인식, 식물체 발달(노화), DNA 수복, 감수분열, 심혈관계 발달 등 고려대 송현규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과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전문지인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구...  
G20 대비 해상보안 민·관 합동훈련 실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국토해양부(정종환 장관)는 오는 11월 개최되는 G20를 대비하여 선박테러 및 해적공격으로부터 우리 선원, 선박 및 화물의 피해를 예방하고, 유사시 신속 대응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민·관 합동 종합훈련을 약 3개월간에 걸쳐 실시한다고 밝혔다. 종합훈련은 우선 9월 14일 부산 한진해운(28층 대강당)에서 최근 선박에 대한 테러·해적공격 현황 및 국가대응체계와 선박의 피해 예방·대응 훈련시나리오, 선박보안 장비·기술 등을 집중 교육하는 사전교육을 시작으로, 10월~11월 2개월간 한국국적 외항선박(약 600척)에 대한 전파 교육 및 선상 훈련, 선박보안경보(SSAS) 작동훈련 등을 실시하게 된다. * 사전교육 참가 : 국토부, 국방부, 외교부, 농식품부 해운업계 등 150 여명 ...  
국내 순수 원천기술로 박막형 형광체가 집적된 단일칩 백색 LED 개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색의 따뜻하고 차가운 느낌(색온도)을 제어할 수 있고, 태양광과 같은 자연광에 더욱 근접하여(연색성 지수) 눈에 피로도도 줄일 수 있는 백색 LED(발광다이오드)가 국내 연구진의 순수 원천기술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고려대 김태근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 연구)과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연구 결과는 전기전자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세계 전기전자학회지(IEEE Journal of Quantum Electronics)’ 9-10월호 표지논문(9월 1일)에 선정되었다. 김태근 교수팀은 박막형(필름형) 형광체가 집적된 단일칩 백색 LED 개발에 성공하였다. 특히 이 LED는...  
창덕궁 향나무 종묘제례 향으로 사용된다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소장 권석주)는 제7호 태풍 ‘곤파스’의 영향으로 부러진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 가지를 종묘제례(宗廟祭禮)나 기신제(忌晨祭) 등 궁능 제향행사에 사용토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창덕궁의 향나무는 750여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문화적 가치가 높아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관리 되어왔다. 전체 높이 12m였던 향나무는 9월 2일 새벽 서울경기지역을 강타한 태풍으로 인해 지표 4.5m높이에서 부러지고 말았다. 부러진 향나무 가지의 소생 가능성에 대해 관계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은 결과 목질부 일부가 붙어 있긴 하나 수피가 떠있어 다시 소생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되어 절단 조치를 하게 되었다. 절단면에 대해서는 외과수술을 통해 추가...  
부산시 홈페이지, 전 세계 순위 44% 급상승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부산시 홈페이지(http://www.busan.go.kr/)가 전 세계 사이트의 순위를 집계하는 Alexa.com에서 4개월여 만에 317,543위에서 178,582위(8월말 기준)로 껑충 뛰어올랐다. 부산시에 따르면 프로모션(홍보) 시작 전인 지난 4월과 대비하면, 8월 현재 외국어 홈페이지 일평균 방문자 수가 대폭 증가(중국 73%, 일본 31%, 미국 26%) 하였으며, 특히 지난 8월 해외 소셜사이트(4,105개 사이트)를 통한 뉴스배포 서비스를 시행한 결과 ‘부산축제’ 뉴스의 노출횟수는 23,780회이며, 조회(읽힌) 수는 1,492회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시가 부산을 알리기 위해 지난 5월부터 미국·중국·일본에 검색엔진 프로모션을 실시한지 불과 4개월만의 성과이다. 그 동안 부산시는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  
팔당호 하천내 농지를 생태 복원하여 '국민의 품으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팔당지역이 재탄생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한강살리기 사업으로 농경지로 사용되던 팔당호 주변지역이 자연과 사람이 함께 어우러지는 생태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되며, 수질개선을 통한 맑은 물 공급은 물론 시민들의 여가 및 휴식 공간 제공으로 지역경제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팔당지역은 수도권 2,000만 시민의 주요 식수원인데도 일부 특정인들이 점유하여 영농행위를 함으로써 식수원을 오염시켜 왔으나, 이번 한강살리기 사업을 통해 본래의 하천 모습을 찾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본 국가하천 부지에서 경작하는 팔당 유기농민들은 첫째 유기농이 친환경적이고, 둘째 경작지역이 ‘11.9월 세계유기농대회 개최 지역이며, 셋...  
추석 연휴 4,949만명 이동 … 작년대비 2.9% 증가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정부는 오는 9월 18일부터 26일까지 9일간을 추석연휴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국민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고향을 다녀 올 수 있도록 관계기관 합동으로 특별교통대책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교통대책기간(9일간)중 전국 예상이동인원은 총 4,949만명(10,342만 통행), 1일평균 550만명(1,149만 통행)으로 전망되었다. * 통행(trip) : 한 목적을 위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을 의미 이는 작년 추석 대비(1,117만 통행/일) 2.9% 증가, 평시 대비(674만 통행/일) 70.5% 증가한 수치이다. * 조사기관 : 한국교통연구원, 8.19~24(22일 제외), 8.30~31, 전화설문조사 * 조사표본 : 총조사 세대수 6,800세대(신뢰수준 95%, 표본오차 ±1.19%) * 이동인원 증가사유 : 최근 ...  
9.13 '세계 최초 외해 건설' 거가대교 해저 침매터널 최종 연결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우리나라 최초의 해저 침매터널이 마침내 완성되었다. 부산시는 부산­거제간의 통행시간 및 통행거리 단축으로 물류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이 기대되는 ‘부산-거제간 연결도로(이하 거가대로)’ 건설 공사구간 중 최대의 난공사로 알려진 해저 침매터널이 9월 13일 최종 연결된다고 밝혔다. 이번에 연결되는 해저 침매터널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는 것으로, 세계적으로도 외해에 건설되는 것은 최초이다. 더구나 해당지역은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을 수 없는 깊은 바다수심(48m), 낙동강 하구의 초연약 지반, 가덕수로의 빠른 조류 등 악조건을 가진 곳으로, 거가대교 사업구간 중 가장 어려운 공사 구간으로 여겨졌다. 부산 - 거제간 연결도로 위치도 사진=부산시 이러한...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