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사회


부제 : 사회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보건복지부(장관 진수희)는 2010년 11월 1일 부터 NDM-1(New Delhi Metallo beta lactamase)을 생산하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이하 CRE)에 대하여 전국 44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표본감시체계를 가동한 결과, ○○의료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 2명으로부터 NDM-1 CRE가 분리되었다고 밝히고 추가로 2건의 의심사례가 발견되어 최종 확인검사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2건의 사례에 대한 1차 사례조사 결과, 환자들은 모두 해외 여행력은 없었고 병원에 장기간 입원하고 있었다.
이에 현재  감염경로 파악을 위해서 질병관리본부가 추가로 정밀 조사를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사례 1은 50대 남성으로 간질성폐질환을 오래 앓고 있어 스테로이드를 장기 복용하여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사례 2는 70대 여자로 당뇨, 화농성척추염을 주 상병명으로 장기간 입원 중이다.
두 사례 모두 병원에서 실시한 추가 검사에서 NDM-1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다제내성균 관리를 위해 「의료관련감염TF」를 가동 중에 있으며, 민·관·학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및 관련 학회가 참여하는 ‘다제내성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여 왔다.


 *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대한감염학회, 대한임상미생물학회, 대한화학요법학회,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의료관련감염TF」에서는 중환자실, 응급실, 투석실의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지침을 제정·보급하였다.
또한 2011년도부터 의료관련감염 예산이 전년 대비 40억원 가까이 증액됨으로써 표본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의료기관들에 대한 지원 강화 등 병원대상 환자감시체계를 보강하고, 의료관련감염 담당자들에 대한 교육 및 훈련과정 운영 등 적극적인 예방관리 활동을 전개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병원 내 감염예방 관리체계 강화를 위해 감염대책 위원회 설치 의무 대상을 현행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150개소)에서 100병상 이상(1,189개소)으로 확대하고 의료관련감염관리 비용에 대한 보전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NDM-1 CRE의 경우, 주로 중환자실에 장기 입원하거나 면역체계가 저하된 중증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키며 감염이 되더라도 치료가 가능한 항생제(티게사이클린, 콜리스틴)가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감염되거나 전파될 가능성이 희박한 일반인들은 과도하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 당부하였다.

 

[Q&A]
1.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이란 무엇인가요?
 -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은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일으키는 Enterobacteriaceae과(family) 균종(species)인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ae 등에서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세균을 의미합니다.
NDM-1 이란 일부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생성하는 New Delhi Metallo-beta lactamase 라는 효소를 지칭하며 이 효소로 인해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됩니다.

 

2.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은 항생제 감수성 장내세균 감염증과 동일하게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을 일으킵니다.

 

3.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감염증과 항생제 감수성 장내세균 감염증을 구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일차적으로 장내세균에 사용하는 항생제가 감염증에 효과가 없거나 현저히 감소한 경우 카바페넴내성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4. 환자에서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분리되었다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나요?
 - 장내세균 감염증 여부와 상관없이 환자의 검체에서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분리되었다면 PCR 검사를 통하여 NDM-1 유전자를 확인하는 것이 환자의  치료나 병원의 감염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만약 NDM-1 유전자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환자로부터 분리된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을 질병관리본부 약제내성과에 송부하여 확인진단을 의뢰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검사 후 그 결과를 해당 병원으로 통보해 줄 것입니다.

 

5.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환자에서 확인된 경우에는 어떻게 조치해야 하나요?
 - 표본감시의료기관에서는 장내세균 감염증 여부와 상관없이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분리된 경우에는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해 주시고,  병원 내 감염관리활동을 시작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중환자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의 ‘다제내성 그람음성간균’ 관리에 준하여 조치를 취하면 됩니다.
    ☞「중환자실 감염관리 표준지침」(2010.9)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질병정보광장>의료관련 감염> 의료관련 감염관리).

 

 


 

 

 

 

어니스트뉴스 honest-news@kakao.com
저작권자 ⓒ 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층아파트 화재 계기, 고층건축물 안전관리 개선 종합대책 필요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지난 10월 1일 부산「우신골든스위트」화재를 계기로 고층 건축물 안전관리에 대하여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며, 우리나라가 고층건축물 건설강국으로 다수의 고층건축물이 건설되었거나 공사 중에 있고, 그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층건축물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 고층(30층 이상) 건축물(‘10. 8. 기준) : 963개소 이에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와 소방방재청(청장 박연수)에서는 공동으로 소방 및 건축분야 전문가(27명)로 “민·관 합동점검단”을 구성, 10월 1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전국 고층건축물의 표본점검(30개소)을 통해 고층건축물의 안전관리 실태를 진단하고, 5차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결식아동의 밥그릇 빼앗아 무엇에 쓰려는고?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친환경 무상급식이 사회적 대세를 이루는 상황에서 결식아동 급식비를 전액 삭감한 정부와 국회를 규탄하는 집회가 열린다.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는 12월 13일(월) 오전 10시 30분 국회 앞 인도에서 2011년도 결식아동 급식지원예산을 전액 삭감한 정부와 국회를 규탄하는 기자회견과 퍼포먼스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는 그동안 ‘서민을 따뜻하게 중산층을 두껍게’라는 슬로건을 내 걸고 고단한 서민들의 삶을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친서민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입버릇처럼 말해 왔다” 며 “하지만 친환경무상급식이 사회적 대세를 이루어 가는 상황에서 이명박 정부는 가난한 결식아동의 급식비 예산을 전액 삭감하여 예산을 편성하고 국회...  
청정원 매운양념곱창 제품 ‘금속성 이물’ 검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대상FNF(주)가 (주)푸르샨식품에 위탁 생산하여 판매(PB)하는 ‘청정원매운양념곱창’ 제품에서 제조단계에서 금속성 이물이 혼입된 것으로 확인되어 관련 제품에 대하여 유통·판매 금지 및 회수조치 하였다고 밝혔다. 제조원 : (주)푸르샨식품 판매원 : 대상FNF(주) 유통기한 : 2011.5.2까지 생산량 :601.2kg(600g X 1,002개) ‘청정원매운양념곱창’ 제품은 원료육(곱창) 세척 및 육안선별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후에 금속성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금속검출기가 설치되지 않아 제조과정에 혼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 전체 길이가 약 0.9cm 정도로 비닐과 금속(알루미늄 재질로 추정)이 결합된 형태의 이물 < 이물 혼입 제품 현황 >...  
숙명여대, 첫 여성 학생군사교육단 창설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숙명여대는 10일 11시에 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학생중앙군사학교장(소장 이승우, 육사#33기)과 숙명여대 총장(한영실 박사) 공동 주관으로 첫 여성 학생군사교육단(제217 학군단) 창설식을 가졌다. 이날 창설식은 명령낭독, 부대기 수여, 경과보고, 학생중앙군사학교장 훈시, 숙명여대 총장 축사 순으로 진행되며, 지난 달 30일 숙명여대 학군사관후보생(ROTC) 제51기로 선발된 30명과 서울지역 학군사관후보생, 학부모 등 1,400여 명이 참석했다. 학생중앙군사학교장은 훈시에서 “숙명여대에 여성 학군단이 처음으로 창설된 것은 큰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면서 후보생들에게 “대한민국 여성 ROTC를 대표하고 선도해 나갈 첫 기수라는 자긍심을 갖고 미래의 꿈과 비전을 위해 끊임없이 ...  
2010년 우수디자인(GD) 상품 455점 선정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지식경제부(장관:최경환)는 2010 우수디자인(GD)상품 455점을 선정하고 이중 55개 수상상품에 대해 12. 10(금)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 ‘10년 1,426점 출품, 455점 GD선정(약 31%) 12. 7(화) 디자인코리아 2010 개막 당일 진행된 공개 상격심사 결과 영예의 대통령상에는 삼성전자의 55인치 3D-LED TV, 국무총리상에는 기아자동차 K5, (주)에넥스의 UD 에디션이 선정되었다. <대통령상> 55인치 3D LED TV(삼성전자주식회사) <국무총리상> K5(기아자동차) <국무총리상> UD 에디션(에넥스) 지식경제부장관상에는 (주)부광기획의 펜스, 서울통신기술(주)의 내비게이션, 삼성물산(주) 건설부문의 스마트 도어록, 포스코건설의 인천 트라이볼(도시축전기념관), ㈜ 애경산업의 리큐가 결정되었다. ...  
“낙동강 소송 기각판결”로 4대강 사업 더욱 탄력받을 듯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원고측(4대강반대소송단 1,819명)이 작년 11월 26일 제기한 ‘낙동강 하천공사시행계획 취소소송’ 및 ‘집행정지결정신청’에 대해 오늘(12.10) 재판부(부산지방법원 제2행정부)에서 기각판결을 선고하였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판결문을 통해 하천법, 환경영향평가법 등 관계 법령의 절차 규정에 위배된다고 보기 어려우며, 원고들이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정부가 대운하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정부가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할 때 비교적 광범위한 형성의 자유를 갖고 있고 행정계획에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위법이 있다는 점은 원고들에게 입증책임이 있음을 전제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사건 사업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  
야4당이 뿔났다, 2011년 예산안 통과…의회쿠데타로 규정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민주노동당 최고위원회는 지난 8일 국회상황을 이명박 정권에 의해 자행된 헌정사상 초유의 의회쿠데타로 규정하고 비상시국회의를 추진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은 야당 의원들의 격렬한 반발 속에서 한나라당의 예산안 단독 상정을 둘러싸고 벌어진 폭력국회에 대해 민주주의의 파괴, 의회쿠데타를 자행한 이명박 정권에 대한 국민적 충격을 추스르고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의 폭거에 대한 들끓는 여론을 광범위하게 수렴하여 반이명박 반한나라당 행동을 전면화할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또한, 민주노동당 의원단과 지도부는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에 의해 자행된 의회쿠데타의 실상을 국민들에게 더 소상히 보고하고 각계의견을 충분히 청...  
‘슈퍼박테리아’ 감염 환자 국내에서 첫 발견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보건복지부(장관 진수희)는 2010년 11월 1일 부터 NDM-1(New Delhi Metallo beta lactamase)을 생산하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이하 CRE)에 대하여 전국 44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표본감시체계를 가동한 결과, ○○의료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 2명으로부터 NDM-1 CRE가 분리되었다고 밝히고 추가로 2건의 의심사례가 발견되어 최종 확인검사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2건의 사례에 대한 1차 사례조사 결과, 환자들은 모두 해외 여행력은 없었고 병원에 장기간 입원하고 있었다. 이에 현재 감염경로 파악을 위해서 질병관리본부가 추가로 정밀 조사를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사례 1은 50대 남성으로 간질성폐질환을 ...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