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사회


부제 : 사회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염색체 분열, 심혈관계 발달 등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Ubr1 단백질의 한 부분(UBR박스)의 구조와 기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져,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 예를 들면, 염색체 분열, 세포자멸사(apoptosis),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복제, 산화질소 인식, 식물체 발달(노화), DNA 수복, 감수분열, 심혈관계 발달 등

 

고려대 송현규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과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전문지인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지(Nature Structural and Molecular Biology)’ 온라인 속보(9월 13일자)에 게재되었고, 연구의 중요성과 독창성을 인정받아 ‘소식과 전망(News & Views)'에 별도로 소개되는 영예를 얻었다.

 

1284424273.jpg

고려대 생명과학부 송현규 교수(서 있는 사람)가 연구원과 함께 UBR박스 단백질을

3D-그래픽을 이용해 분석하고 있다. 구조생물학 분야에서는 입체안경을 쓰고 3D-이미지를

보는 것이 오래 전부터 보편화되어 있다.  사진=교육과학기술부 


고려대 송현규 교수팀은 Ubr1 단백질의 한 부분인 UBR박스가 지금까지 알려진 어떤 단백질과도 유사하지 않은 특별한 구조를 갖추고 있고, 이러한 특이한 구조로 기질에 있는 아미노-말단의 양(+)전하를 특이하게 인식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 기질(氣質, substrate) : 효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분자
    * 아미노-말단 : 단백질은 수많은 아미노산(amino acid)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처음의 아미노산

 

Ubrl 단백질은 세포 분열 등에 관여하는 매우 중요한 단백질(E3 유비퀴틴- 리가제) 중에 하나로서 가장 처음 특성이 밝혀졌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구조 정보가 전무하여, 학계에서는 이 단백질이 세포 내에서 어떻게 기질을 인식하는지 규명하고자 노력해왔다.
    * E3 유비퀴틴-리가제 : 수명을 다한 단백질에 달라붙어 단백질 분해 과정에 참여하여 분해되어야 하는 기질을 표지하는 매우 중요한 단백질인 유비퀴틴을 어느 기질에 붙일 것인가 결정하는 마지막 반응을 담당함

 

송 교수팀은 UBR박스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 접힘(folding)의 형태를 갖추고 있고, 인체의 Ubr1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심각한 정신발달장애(요한슨-블리자드 증후군)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Ubr1 돌연변이 중에 하나가 UBR박스에 존재하는 아연(Zn) 결합 아미노산 잔기이며, 아연의 형태도 지금까지 밝혀진 것과는 완연히 다른 삼차원 구조를 갖추고 있음을 밝혀냈다.
    * 아미노산 잔기(殘基, residue) : 20개의 아미노산은 모두 아미노기와 카르복시기가 존재하는데 그 나머지를 ‘잔기’라고 하고, 곁사슬(side chain)을 나타냄. 곁사슬에 따라 무슨 아미노산인지 결정되고, 산성, 염기성, 친수성(극성), 소수성(비극성)의 네 가지 종류로 구분됨.

 

또한 연구팀은 특별한 UBR박스의 구조로 인해, 아미노-말단에 양전하를 띠고 있는 기질들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생화학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1989년 Ubr1 단백질을 최초로 발견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알렉산더 발샤브스키(Alexander Varshavsky) 교수는 “지금까지 10여개의 미국 실험실에서 Ubr1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노력해왔으나 진척이 없었는데, 송 교수의 이번 연구는 비록 전체 Ubr1 단백질이 아닌 한 부분(UBR박스)이지만, Ubr1 단백질을 이해하는 중대한 첫 걸음을 내딛는 중요한 결과”라고 논평하였다.

 

송현규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Ubr1 단백질이 관여하는 수많은 세포 생리학 반응의 분자적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생체 내 아미노-말단 기질을 찾고 이해하는데 기반을 마련하였다” 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어니스트뉴스 honest-news@kakao.com
저작권자 ⓒ 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바이러스로부터 항암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신물질 발견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암발생 억제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p53)을 안정화 시키는 물질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어 신규 항암치료제 개발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프론티어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단장 오태광) 지원 및 글로벌 프론티어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단장 김성훈)의 협조를 받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명희 박사팀과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정재웅 교수팀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수행되었다. HAUSP 효소와 펩타이드 vif1과 vif2의 복합체 입체구조[사진제공=교육과학기술부] 일반적으로 항암치료는 p53이라는 암발생 억제 단백질의 발현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고 오랫동안 기능을 ...  
경남수산의 효자품종, 검은테 굴 고품질화 연구 착수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경남도 수산자원연구소(소장 김상욱)와 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는 1월 12일 경남수산의 양식 주력품종인 굴의 경쟁력 강화와 어업인의 품종개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고품질 굴(검은테 굴 : 연체부가 검은 굴) 품종개발 보급을 위하여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수산자원연구소는 매년 수출 감소와 내수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불안정 하는 등 굴 양식업이 안정적이지 못함에 따라, 고품질의 굴을 개발하여 어업인에게 보급함으로서 굴 양식산업 경쟁력 향상과 소비자가 요구하는 맞춤형 상품개발을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과 공동으로 연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굴은 경남도가 최대 생산지로서 전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약 3만5천톤 정도의 굴...  
심혈관계 발달 등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 부분(UBR박스) 구조 최초 규명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염색체 분열, 심혈관계 발달 등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Ubr1 단백질의 한 부분(UBR박스)의 구조와 기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져,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 예를 들면, 염색체 분열, 세포자멸사(apoptosis),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복제, 산화질소 인식, 식물체 발달(노화), DNA 수복, 감수분열, 심혈관계 발달 등 고려대 송현규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과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전문지인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구...  
KAIST 이상엽 교수팀, 초고분자량 거미 실크 단백질 생산기술 개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과 서울대 박영환 교수팀이 공동으로 세계적으로 이제까지 생산하지 못했던 ‘초고분자량의 거미 실크 단백질’을 대사공학으로 개량된 대장균을 이용하여 생산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 초고분자량의 단백질로 만든 거미 실크 섬유는 강철보다 강한 성질을 나타냄을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가 2009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바이오제약 사업본부장 수원대 임교빈 교수, 분자생물공정 융합연구단장 KAIST 김정회 교수)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특허 출원 중으로 세계적 저명 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誌’ 7월 2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  
암 발생과 전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메커니즘 규명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국내 연구진이 세포핵 속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메틸화하여 암 발생과 전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작동 경로를 규명하여, 암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 메틸화(methylation) : 유기화합물의 수소원자를 메틸기(-CH3)로 치환하는 반응 백성희 교수(서울대 크로마틴 다이나믹스 연구단장, 39세)의 주도 하에, △이세웅 박사(제1저자) △포스텍 황대희 교수 △숙명여대 김근일 교수 △중앙대 서상범 교수 △인하대 김정화 교수 △암센터 이호 박사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적 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전문지인 셀(Cell...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