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 입니다.

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TV/연예뉴스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1586년 3월. 상대가 노비가 아닌 양인이라고 소송을 제기한 양반과 스스로를 노비라고 주장하는 한 여인이 있었다!
조선시대에 실제로 있었던 사건! 과연 이 날의 소송에는 어떤 사연이 숨어있었던 것일까?

 

경북 안동의 학봉종택에는 15000점 이상의 유물이 보관돼 있다. 학봉(鶴峯) 김성일이 썼다는 우리나라 최초의 안경을 비롯해 많은 고문서들이 남아있는데, 그 중 오늘날의 판결문에 해당하는 6개의 결송입안(決訟立案)이 포함돼 있다.

조선시대 수령의 업무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것이 재판의 판결. 학봉은 신속하고 공정한 판결로 명성을 떨쳤는데, 나주에 수령(守令)으로 부임했던 시절에 그가 맡았던 사건 중 하나가 바로 1586년 3월 12일 시작된 80대 여인 다물사리와 양반 이지도의 소송이었다.

 

1284982714.jpg

<역사스페셜> 나는 노비이고 싶다 - 1586 다물사리 소송사건

2010. 9. 25(토) 20:00~21:00(KBS 1TV)  사진=KBS 

 

이지도는 다물사리가 양인이라고 주장하고, 다물사리는 자신이 성균관 소속 종이라 주장한다. 이들은 왜 이런 엇갈리는 주장을 한 것일까?

 

양인 여성이 노비와 결혼한 경우, 자손들이 노비인 아버지를 따라 그 주인의 소유가 되었다. 이지도 집안의 노비와 결혼한 다물사리. 따라서 이지도의 주장대로 다물사리가 양인이라면 그 자손들은 남편의 주인이었던 이지도 집안의 노비가 된다.

부계 혈통을 지향했던 조선. 그러나 노비소유권에 대해서는 노비들끼리 결혼해 낳은 자손은 어머니의 주인에게 예속된다는 ‘천자수모법’을 적용했다.
그래서 다물사리는 자신이 노비라 계속 주장하며 그녀의 딸과 손자들은 그녀가 속한 성균관에 예속시키려 하였다.

550년 전, 양반이 관의 힘을 빌려 노비를 추적했던 문서가 지난 9월 10일 발견됐다.

 

1284982785.jpg1284982811.jpg 

 ▲학봉종택                                                    ▲다물사리 재판 관련 결송입안(決訟立案)

1284982925.jpg

<역사스페셜> 나는 노비이고 싶다 - 1586 다물사리 소송사건

2010. 9. 25(토) 20:00~21:00(KBS 1TV)  사진=KBS 

 

노비들은 주인에게 노동력과 재화를 바쳐야 했다. 때때로 그 과중한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망을 가는 일이 발생하곤 했는데, 재산상의 손실을 막기 위해 노주들은 인맥이나 공권력을 동원했던 것이다.

도망 외에 노비들이 질곡의 삶을 벗어나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된 것이 바로 투탁이었다. 이는 문서 등을 조작해 자신의 소속을 바꾸는 범죄로, 이지도와 다물사리 재판의 쟁점이기도 했다. 이지도는 다물사리가 성균관 관비로 투탁(投託)했다고 주장했는데, 다물사리는 오히려 이지도가 자신의 호적을 위조해서 양인을 천인으로 삼으려 한다고(압량위천/壓良爲賤) 맞섰다. 과연 누구의 말이 옳은 것일까?

 

다물사리가 양인이면 자손들은 이지도 집안의 노비, 다물사리가 성균관비면 자손들도 성균관에 속하는 노비가 되는 상황. 어차피 노비라는 신분 자체는 벗을 수 없었다. 그런데 다물사리가 재판에서 끝까지 주장을 굽히지 않는 것을 보면 같은 노비라 해도 그 입장이 매우 달랐음을 알 수 있다.

 

공공기관에 속한 공노비와 개인의 소유인 사노비는 어떻게 달랐을까? 노비들이 부담하는 노동력과 재화는 어느 정도였을까? 조선시대 고문서를 살펴보면 개인 재산을 소유하고, 심지어 노비를 둔 노비도 있었다고 하는데... 1586년에 실제로 있었던 소송사건을 통해 그동안 잘 몰랐던 조선시대 노비들의 삶과 꿈을 엿본다.

 

<역사스페셜> 나는 노비이고 싶다 - 1586 다물사리 소송사건 2010. 9. 25(토) 20:00~21:00(KBS 1TV)에서 방송됩니다.

 

 

 

 

 

 

 

 

어니스트뉴스 honest-news@kakao.com
저작권자 ⓒ 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586년 다물사리 소송사건, 투탁과 압량위천 그리고 천자수모법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1586년 3월. 상대가 노비가 아닌 양인이라고 소송을 제기한 양반과 스스로를 노비라고 주장하는 한 여인이 있었다! 조선시대에 실제로 있었던 사건! 과연 이 날의 소송에는 어떤 사연이 숨어있었던 것일까? 경북 안동의 학봉종택에는 15000점 이상의 유물이 보관돼 있다. 학봉(鶴峯) 김성일이 썼다는 우리나라 최초의 안경을 비롯해 많은 고문서들이 남아있는데, 그 중 오늘날의 판결문에 해당하는 6개의 결송입안(決訟立案)이 포함돼 있다. 조선시대 수령의 업무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것이 재판의 판결. 학봉은 신속하고 공정한 판결로 명성을 떨쳤는데, 나주에 수령(守令)으로 부임했던 시절에 그가 맡았던 사건 중 하나가 바로 1586년 3월 12일 시작된 80대 여인 다물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