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3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은 시간이 갈수록 수많은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최초 IOC에 비드파일(유치계획서)을 제출 할 당시 8조원에서 출발한 올림픽 개최비용은 11조~13조원으로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이대로라면 2014 인천아시안게임처럼 심각한 재정문제에 시달릴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분산개최와 활강경기장 건립으로 인한 환경문제도 언급되면서 끊임없는 잡음이 생기고 있다.
올림픽을 치르기도 전에 갖가지 논란에 둘러싸인 평창 동계올림픽! 그 논란을 'PD수첩'이 짚어본다.
◆ 사후활용방안이 모호한 동계올림픽 경기장, 애물단지가 될 확률 높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치루기 위해 필요한 경기장은 총 13개. 이 가운데 6개를 신축하고, 7개는 기존시설을 개보수해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단 6시간 사용을 위해 인구 4천여 명의 횡계리에 지어지는 개·폐회식장. 건립예산은 1,300여억 원에 달한다. 또한 3일간 열리게 되는 알파인 스키 활강 경기를 위해 가리왕산에 건립되는 경기장에 1,095억 원이 들고, 다시 복원을 하는 데는 1,018여억 원이 든다고 한다.
현재 뚜렷한 경기장 사후활용계획으로는 관동대에서 제2아이스하키 경기장을 체육관으로 활용하기로 한 것 외에는 없기 때문에 앞으로 남은 3년 안에 구체적인 사후활용 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경기장과 개·폐회식장을 철거한다고 한다.
강원도민들의 바람으로 유치한 ‘메가 스포츠 이벤트’가 오히려 강원도 재정을 압박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평창 동계올림픽, 분산개최는 없다?
2014년 12월, IOC는 올림픽 혁신안으로 ‘아젠다 2020’을 발표했다. 이는 ‘개최지가 아닌 지역이나, 개최국을 벗어난 국가에서도 경기가 가능하다’는 것이 핵심내용. 분산개최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과거에 하나의 개최지로 한정한 것을 개선한 것이다. 하지만 강원도와 평창 조직위원회는 분산개최는 없다는 입장이다.
[PD수첩]은 IOC의 입장도 들어봐야 한다고 판단. IOC 동계올림픽 조정위원회 린드버그 위원장에게 인터뷰를 요청했다고 한다. 린드버그의 입장은 어떨까?
◆ ‘올림픽이 뭐기에..’ 땅을 잃고 마을을 잃을 위기에 처한 주민들
올림픽을 유치하면서 장밋빛 앞날을 예상하던 주민들에게 들이닥친 시련. 과연 평창 동계올림픽은 누구를 위한 올림픽인가?
막대한 예산과 모호한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 분산개최는 없다고 주장하는 조직위와 강원도, 갖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평창 동계올림픽. 3년이 남은 시점에서 예산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안이 있다면 고려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이번주 방송되는 PD수첩 1029회에서는 13조 예산을 들여 개최되는 평창 동계올림픽의 현 주소를 짚어본다.[사진제공=MBC PD수첩]
저작권자ⓒ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