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사회


부제 : 사회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6·25 전쟁 당시 한반도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머나먼 이국땅으로 파병 온 여러 나라 중 대한민국 공군과 끈끈한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부대가 있다. 6·25전쟁 65주년을 맞아 한국 공군을 방문한 호주공군 제77비행대대(이하 ‘77대대’)가 바로 그 주인공.

호주는 1950년 7월 2일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6·25 참전을 결정했으며 당시 일본 이와쿠니에 주둔하고 있는 호주 공군 77대대를 한반도로 전개해 수많은 전과를 세웠다. 호주 공군은 1954년 10월 12일 철수할 때까지 약 4년여 동안, 77대대는 F-51과 Meteor-8 전투기로 총 15,071소티를 출격해 건물 3,700채, 차량 1,408대, 기관차 및 화차 98대, 교량 16개를 파괴하고 적 MiG-15 5대를 격추하는 전과를 거두었으며, 1952년 11월에는 한국 공군에 F-51 전투기 2대를 기증하기도 했다.

77대대의 이러한 전과 이면에는 뼈아픈 희생이 뒤따랐다. 1950년 9월, 당시 77대대장이었던 루 스펜스(Lou Spence) 중령이 작전 도중 전사했으며, F-51 전투기 13대와 Meteor-8 전투기 45대가 격추되고, 총 41명의 조종사가 다른 나라의 자유 수호를 위해 싸우다 장렬히 산화했다. 

7월 26일(일)부터 30일(목)까지 4박 5일 간 77대대장 벤자민 슬리맨(Benjamin Sleeman) 중령을 비롯한 77대대 조종사 3명은 한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 102전투비행대대(이하 ‘102대대’)를 방문해 양국 공군 간의 우정과 화합을 나누는 교류행사를 갖는다.

102대대와 77대대 간의 교류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2년 5월 제1차 한·호주 공군 대 공군 회의를 계기로 102대대와 77대대는 자매결연하여 이번 방문을 포함해 각각 3번씩 총 6차례의 상호 방문을 통해 활발한 군사교류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두 대대는 6·25 참전이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지금까지 인연을 맺어오며, 한국과 호주의 동맹관계를 굳건히 다지는 외교관으로서 가교 역할을 해왔다.


1.jpg

방문단이 한국에 도착해 가장 먼저 찾은 곳은 국립서울현충원이었다. 26일(일) 늦은 시각,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방문단은 27일(월) 아침 국립현충원을 방문해 참배하고 헌화하며 이 땅의 평화를 위해 헌신한 호국영령들께 애도와 감사의 마음을 표했다.

이어서 102대대에 도착한 77대대원들은 오는 30일(목)까지 102대대 조종사들과 함께 전술토의를 진행하고, 환영만찬, 문화탐방, 안보현장 견학 등의 친선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특히 28일(화)에 실시한 전술토의에서는 동북아 최강 전투기인 102대대 F-15K와 호주 공군의 에이스 항공기인 77대대 F-18의 전술 노하우를 공유하며 공중작전 수행능력 신장을 위한 심도 있는 의견교환이 이루어졌다.

호주공군 77비행대대장 벤자민 중령(44세)은 “전쟁의 아픔을 이겨내고 급속한 성장을 이룩한 한국의 발전된 모습을 보며, 선배 전우들이 목숨 바쳐 지켜낼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느꼈다”라며, “우수한 작전능력을 보유한 한국 공군과 지속적인 교류로 양국 간의 동맹관계가 더욱 돈독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102전투비행대대장 이현희 중령(공사 44기, 43세)은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함께 싸워줬던 호주 공군 77대대의 헌신에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라며, “양국 공군의 우정이 앞으로 영원히 이어나가길 바라며 연합작전 능력을 높여 세계평화 유지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선진 정예 공군이 되도록 임무완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사진제공=대한민국 공군]


저작권자ⓒ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민국 공군, 최초 부사관 학군단 신설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공군은 우수한 항공기술 부사관 양성을 목적으로 지난해 2014년 8월 5일 영진전문대학과 합의서를 체결해 올해 7월 1일 공군 최초로 부사관 학군단을 신설했다. 공군은 학군단 신설을 통해 부사관 자원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모병 방법을 다양화함으로써 안정적 인력 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9월 1일(화) 영진전문대학은 최재영 총장 주관으로 대운동장에서 이왕근 공군교육사령관, 이광수 기본군사훈련단장 등 주요내빈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기 공군 부사관 학군단 창설·입단식’을 개최했다. 행사는 개식사를 시작으로 학군단기 수여, 학군후보생 선서, 영진전문대 총장 창설식사, 공군교육사령관 축사, 입단신고, 공군가 제창, 폐식사 순으로 진행됐...  
청해부대 18진 왕건함 입항환영식 개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지난 2월 9일, 우리 선박의 해상 안전보장을 위해 소말리아 해역으로 파병을 떠났던 청해부대 18진 왕건함의 귀국 환영식이 8월 17일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서 열렸다. 엄현성 해군작전사령관 주관으로 열린 이날 환영식에는 주요 지휘관 및 장병, 청해부대원 가족 등 7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해부대 장병들의 임무완수와 무사귀환을 축하했다. 청해부대 18진 왕건함은 6개월 여 간의 파병기간 중 20차례에 걸쳐 국내ㆍ외 선박 43척을 안전하게 근접 호송함은 물론, 905척의 선박에 대해 안전항해 지원 임무를 완벽히 수행했다. 특히 지난 4월 청해부대 18진 왕건함은 사우디아라비아의 공습으로 치안이 불안해진 예멘의 상황을 고려, 예멘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  
레드플래그 알래스카 훈련 본격 돌입…미션 커맨더 서재경 소령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공군이 지난 8월 4일부터 미 태평양사령부(Pacific Air Force) 주관으로 실시되는 2015년 레드플래그 알래스카(Red Flag-Alaska) 훈련에 참가하여 이번 주부터(8월 11일, 화) 본격 훈련에 돌입한 가운데, 8월 15일(토) 서재경 소령(37세, 공사 49기)이 해외 연합훈련 최초로 미션 커맨더(Mission Commander : 임무편대장, 이하 MC) 역할을 수행했다. 이날 오전 공격편대군 임무의 편대장으로서 연합공군을 지휘한 서재경 소령은 자신이 조종하는 우리 공군의 F-16PBU 전투기를 포함해, 한국·미국·일본·호주 등 연합공군의 70여대 항공기를 이끌고 알래스카주의 아일슨 공군기지(Eielson Air Base)를 이륙해 임무공역으로 향했다. 공격편대군 임무는 적의 주요표적들을 타격하기 위해 공...  
백선엽 예비역 대장, 북 지뢰도발 부상 하재헌 하사 위로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제7대 육군참모총장이자 제5대 1사단장을 역임한 백선엽 예비역 대장이 12일 오후 경기도 분당 서울대병원을 방문하여 지난 4일 비무장지대(DMZ) 내 북한이 설치한 목함지뢰 폭발로 부상을 당한 하재헌(21세) 하사를 위로했다. 백선엽 예비역 대장은 하 하사를 만나 “당신은 1사단의 대 영웅입니다. 건승을 빕니다. 전 국민이 응원하고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낙심하지 마세요. 건투를 빕니다.” 라고 격려하였다. 백 장군의 격려를 받은 하재헌 하사는 “평소 군인으로서 존경했던 분을 직접 만나게 되어 영광이며, 특히 96세의 연세에도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격려의 말씀을 해주셔서 감사했다”며 병문안을 와준 백 장군에 대한 고마움을 나타냈다.[사진제공=대한민국 육군]“ 저...  
8월 4일부터 18일간 레드플래그 알래스카 훈련 실시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공군이 참가하는 미 태평양사령부(Pacific Air Force) 주관 레드플래그 알래스카(Red Flag Alaska) 훈련이 8월 4일(화)부터 21일(금)까지 18일간 실시된다. 훈련에 참가하는 우리 공군의 (K)F-16D 전투기 6대는 오늘 새벽 04시 30분, 제19전투비행단(이하 ‘19전비’)에서 이륙해 미 공군의 공중급유를 받으며 알래스카주의 아일슨 공군기지(Eielson Air Force Base)에 전개했다.(착륙시간 : 한국 14:29 / 현지 8.3. 21:29). 우리 전투기가 한반도를 벗어나 공중급유를 받으며 해외 연합훈련에 참가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이 전투기들은 아일슨 공군기지까지 약 4,500NM(약 8,100km)나 되는 거리를 10시간 가량 논스톱으로 비행했으며, 미 공군 공중급유기 KC-135가 11차례에 걸쳐 공중...  
대한민국 자긍심 태극기, 우측 어깨에 달다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일제강점기 탄압을 받는 순간에도 두 손에서 놓지 않았던 태극기, 광복의 기쁨을 함께 한 태극기, 6ㆍ25전쟁 당시 피로써 지켰던 태극기,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를 이룩한 기쁨을 축하하며 전국을 수놓은 환희와 기쁨의 태극기. 국가를 상징하며 조국의 희노애락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태극기가 장병들의 우측 어깨에 달렸다. 조국수호의 사명을 다하기 위해 입대하여 5주간의 신병교육훈련을 받고 7월 29일 수료한 육군훈련소 훈련병 1,700여명이 전투복에 최초로 태극기를 부착했다. 국방부가 군복 입은 군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애국심을 함양하기 위해 장병들의 전투복에 태극기 부착을 추진함에 따라 육군훈련소는 육군의 일원으로 첫 걸음을 내딛는 신병 수료식에서 계급장과...  
공군 213비행교육대대, 21만 시간 무사고 비행 대기록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공군 제3훈련비행단 예하 213비행교육대대(이하 ‘213대대’)가 지난 2013년 9월에 수립했던 20만 시간 무사고 비행기록에 이어 약 2년 만에 ‘21만 시간 무사고 비행’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해 공군 단일대대 최장 무사고 비행기록을 갱신했다. 기록은 7월 29일(수) 오전 11시, 213대대 비행대장 강수구(공사 48기, 39세) 소령과 학생조종사 여준구 중위(공사 62기, 25세)가 탑승한 국산 훈련기 KT-1이 임무를 마치고 활주로에 안착하면서 달성되었다. 지난 1983년 8월 30일부터 약 31년 10개월에 걸쳐 수립된 ‘21만 시간 무사고 비행’은 공군 창군 이래 단일대대 무사고 비행기록으로는 최초이자 최장기록이며,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기록이다. 이 기간 동안 213대대가 하...  
한반도 자유수호 위해 함께 싸웠던 호주 공군 77비행대대 한국 방문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6·25 전쟁 당시 한반도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머나먼 이국땅으로 파병 온 여러 나라 중 대한민국 공군과 끈끈한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부대가 있다. 6·25전쟁 65주년을 맞아 한국 공군을 방문한 호주공군 제77비행대대(이하 ‘77대대’)가 바로 그 주인공. 호주는 1950년 7월 2일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6·25 참전을 결정했으며 당시 일본 이와쿠니에 주둔하고 있는 호주 공군 77대대를 한반도로 전개해 수많은 전과를 세웠다. 호주 공군은 1954년 10월 12일 철수할 때까지 약 4년여 동안, 77대대는 F-51과 Meteor-8 전투기로 총 15,071소티를 출격해 건물 3,700채, 차량 1,408대, 기관차 및 화차 98대, 교량 16개를 파괴하고 적 MiG-15 5대를 격추하는 전과를 거두었으...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