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뉴스, 뉴스기사검증위원회(M)

사회


부제 : 사회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마포구 매봉산 자락에 자리잡고 131만 배럴 석유를 담아뒀던 지름 15~38m, 높이 15m(5층 건물 규모)의 탱크 5개를 비롯, 1970년대 산업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 10만1,510㎡가 ‘문화비축기지’로 새 옷을 갈아입고 오는 2016년 문을 연다.
서울광장의 약 8배 이르는 대규모 공간으로, 2000년 용도폐기 돼 방치된 지 14년만의 탈바꿈이다.

서울시는 ‘마포 석유비축기지 국제현상설계경기’의 당선작으로 백정열[㈜알오에이 건축사사무소] 외 2인이 출품한 ‘Petro - Reading the story of the site(땅(石)으로부터 읽어낸 시간)’를 최종 선정했다고 25일(월) 발표했다.

1.jpg
Petro - Reading the story of the site(땅(石)으로부터 읽어낸 시간)[사진제공=서울시 도시계획국 공공개발센터]

서울시는 올해 초 ‘환경과 재생’을 주제로 한 친환경 복합문화공간을 만들어 시민 품으로 돌려준다는 구상을 세우고 지난 5월 20일 ~ 8월 12일, 공모전 접수를 받았다.

서울시에 따르면 공모전 84일간 최종적으로 95개 작품이 제출됐으며, 16개국 53인의 외국인 건축사를 포함해 총 227명의 건축사가 참여했다. 설계를 위해 실시한 현장설명회(7.2)에도 220여 명이 참석하는 등 공모전은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다.

1등 당선작은 이 장소(site)가 생겨나고 존재해왔던 이야기를 기억하고 그 과정을 유추하여 우리시대의 언어로 재구성한 작품으로 조성룡, 이토 토요 등 국내외 명망 있는 건축, 조경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사(21일~23일)를 거쳐 최종 선정됐다.

2013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일본 건축가 이토 토요(Ito Toyo), 광주 비엔날레 큐레이터였던 미국 시라큐스 대학의 프란시스코 사닌(Francisco Sanin) 교수, 선유도공원 설계자인 조성룡 성균관대 교수를 비롯해 김승회 서울대 교수, 조경진 서울대 교수와 김영준도시건축의 김영준 대표가 참여했으며, 위원장은 조성룡 교수가 맡았다.

당선작으로 선정된 ‘땅(石)으로부터 읽어낸 시간’은 5개의 탱크를 200석 규모의 공연장, 옥외공연장, 기획·상설 전시장 등의 콘텐츠로 채우거나 연결, 이를 통해 과거 탱크가 지어지는 과정과 현재의 간격을 공간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했다.  

과도한 설계를 자제하면서 이 땅이 지닌 지형의 고유 잠재력을 최대로 이끌어 냄으로써 탱크와 풍경이 하나가 된 유일한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조성룡 심사위원장은 “이 땅의 역사에 주목해 70년대 5개의 탱크가 지어지는 과정과 오랜 세월 버려져 있던 현재 상태의 간격을 새롭게 채우고, 건축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주고자 하는「시간의 건축」, 동시에 이 땅의 잠재력을 가장 단순한 방식을 통해 되살리는「장소의 건축」을 제안하고 있어 단순하게 과거의 산업시설을 재활용한다는 차원을 뛰어넘어 친환경 문화도시 서울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1등 당선작 이외에도 2등(1작품), 3등(1작품), 가작(9작품) 등 총 12개의 작품이 선정됐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2등에는 ‘Park T6’(김성한[건축사사무소 아크바디] 외 2인), 3등에는 ‘Culture Casting Tank’(손을식[㈜시스템 랩 그룹 건축사사무소])가 뽑혔다.

가작으로는 ▴‘Floating Pergola’(김광수[건축사사무소 커튼홀] 외 2인), ‘Disclosed Ground’(송상헌[에이코랩 건축사사무소] 외 1인) ▴‘Tracing the Vestiges : A loggia connecting the landscape and technoscape’(조영수[㈜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외 1인), ‘ the Door’(박영일[㈜건축사사무소 핸드] 외 1인) ▴ ‘Five Cosmic Elements in a Park ’(오성제[에이앤유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외 1인) ▴‘Natural Path’(이종수[노드에이건축사사무소] 외 1인), ▴‘Loop Tank : A Mysterious Journey’(이충렬[㈜더 시스템 랩 건축사사무소]) ▴‘Narration of the Memories’(장성렬[㈜이안디자인건축사사무소] 외 3인) ▴‘Floating Promenade’(김택빈[이스케이프 건축사사무소] 외 1인)이 선정됐다.

서울시는 기본 및 실시설계와 공사를 거쳐 2016년 말 개장할 예정이며, 친환경 복합문화공간 조성이 완료되면 이 일대 노을·하늘공원, 월드컵경기장 등 주변의 친환경 문화자원과 함께 서북권의 환경생태 및 문화공간거점으로 자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5개의 석유탱크가 생겨나고 존재해왔던 과정을 유추해 우리시대의 언어로 재구성하여 산업유산의 고유한 장소적 가치와 역사성을 살리는 도시재생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서울시는 2017년 서울에서 열리는 123개국, 130만 명의 건축가 회원을 가진「국제건축가 연맹 UIA(International Union Of Architects)총회」에 참석한 전 세계 건축가들을 대상으로도 문화명소로 탈바꿈한 마포 석유비축기지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시상식은 9월 16일(화) 오후 2시에 태평홀에서 열리며, 당선작으로 선정된 ‘백정열[㈜알오에이건축사사무소] 외 2인’에게는 상패와 기본 및 실시설계권이 주어진다. 관련 계약은 10월에 이뤄진다.
2등 작에는 상패 및 상금 5000만원, 3등 작에는 상패 및 상금 2000만원이 각각 수여된다.
아울러 가작으로 선정된 9개 작품은 상패 및 상금 100만원이 각각 수여될 예정이다.

당선작을 비롯한 입상 작품들은 오는 9월 12일부터 일주일간 시청 1층 로비에 전시해 시민들에게도 공개한다.

마포 석유비축기지는 1970년대 2차례의 오일쇼크로 인해 국가적 차원으로 석유비축사업을 추진하면서, 매봉산 자락에 탱크 5개를 매설해 석유를 저장했던 유례가 드문 산업유산이다.

주변 상암동 일대가 첨단 디지털미디어산업의 중심으로 변화되고 쓰레기 매립지는 노을·하늘공원으로 바뀌었음에도, 2000년 용도폐기 된 이후 잊혀진 공간으로 남아있었다.

박원순 시장이 취임 후 현장을 방문하면서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가진 잠재력과 가치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해왔으며, 시민, 학생·전문가 아이디어 공모 및 공개토론회 등 수 차례에 걸친 공론화과정을 거쳐 ‘친환경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자는 공감대를 형성, 올해 1월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이번에 실시한 현상공모 대상지는 시가 발표한 기본구상 중 1단계에 해당한다. 2단계 사업인 주차장 부지 일대는 1단계 내용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상암 DMC의 산업지원 기반으로 추후 개발·조성할 계획이다. 1·2단계 총 면적은 서울광장의 11배인 약 146,245㎡.

이제원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주변에 있던 쓰레기 산이 공원으로 바뀌고 상암지역이 디지털미디어시티로 눈부신 성장을 하는 동안 홀로 소외됐던 마포 석유비축기지를 시민들의 품으로 다시 돌려주는 가장 좋은 방법을 찾기 위해 아이디어 공모, 시민토론회, 전문가 워크숍 등 많은 공론화 과정을 거치며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도 중요하게 여기는 공공개발의 새로운 롤모델을 제시했다”며 “기존의 산업유산을 무조건 철거하는 것이 아니라 장소적 특성을 살리면서 도시재생의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 당선된 만큼 서울시를 대표하는 명소로 키워 나가겠다”고 말했다.












어니스트뉴스 web@honestnews.co.kr
저작권자ⓒHNN 어니스트뉴스 (www.Hones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시, '시민인권배심원제' 국내 최초 도입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서울시가 150인의 시민 배심원과 50인의 전문가 배심원이 시정 관련 인권침해 및 차별 사건에 대한 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시민인권배심원제'를 국내 최초로 도입한다. 사법부의 '국민참여재판'이 국민으로 구성된 배심원의 피고인에 대한 유·무죄 평결이 재판부의 판결 선고에 반영되듯, '시민인권배심원제'의 평결 역시 재판부 역할을 하는 시민인권보호관에게 전달돼 최종 결정에 반영되게 된다. '시민인권배심원제' 안건은 시민인권보호관이 조사 중인 시정 관련 인권침해 사건 중, 시민에게 영향력이 커서 사회적 합의한 주요 사건으로, 시 인권위원회, 시장, 사건 담당 시민인권보호관이 제안하고, 신청인이 동의하는 경우 시민인권보호관협의회를 통해 선정된다. 서울시는 지난...  
온 종합병원, 부산시와 '1530건강걷기' 협약 체결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부산광역시(시장 서병수)가 주최하고 동서대학교(총장 장제국) 산학협력단이 주관하는 ‘1530 건강걷기’ 협약식 및 ‘힐링워킹’ 발대식이 오는 27일 오후 2시 부산시청 1층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는 부산광역시 복지건강국 송근일 국장과 국제신문사 차승민 사장, 부산불교방송 박순곤 사장, 부산YMCA 신관우 이사장, 온 종합병원 정근 병원장, 동서대학교 곽원일 산학협력단장, 1530건강걷기 임백빈 사업단장(동서대학교 운동처방학 교수)을 비롯한 500여명의 내외빈이 참석한다. 지난해에 이어 2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이번 ‘1530 건강걷기’ 행사는 부산시민들에게 걷기의 중요성을 알리고 지속적인 걷기참여를 유도하여 부산시민의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한편 걷고 싶은 부산을...  
동명대 설동근 총장, '아이스 버킷 챌린지' 동참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설동근 동명대 총장이 루게릭병 환자를 돕기 위한 기부 캠페인 ‘아이스 버킷 챌린지’(얼음물 샤워)에 동참했다. 설동근 총장은 25일 오전 11시 30분 동명대 책탑 앞에서 “루게릭병과 모든 만성질환자들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의미있는 도전에 임한다”고 말했다. 설 총장은 또한 “이같은 따뜻한 마음이 많은 분들에게 전해지기를 바란다”면서, 다음 대상으로 부경대 김영섭 총장, KBS 조한제 부산총국장, 동진기공 강동석 회장 등 3명의 인사를 지목했다. 설 총장은 동명대 경영대학 박영근 학회장으로부터 지목을 받아, 이날 장진곤 학생(항만물류시스템학과 3학년)의 도움을 받아 얼음물 샤워를 체험했다. 산학실용명문 동명대는 지난 2년여동안 다양한 차별화 브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집중호우에 따른 안전사고 주의 당부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호우경보 확대에 따라 25일 새벽 4시부터 호우 대처를 위한 중대본 비상1단계 근무를 가동하였으나, 현재 시간당 30㎜이상의 강한 비와 제주 성산(128㎜), 금산(120㎜), 군산(114㎜) 등에 많은 비가 내리고,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일부지방에 호우경보가 확대되어 25일(월) 12:00분부터 비상 2단계 근무체제로 격상하였다. 한편 시간당 100mm가 넘은 집중호우에 부산 도시철도 1·2호선 일부 구간이 침수됐다. 부산에는 25일 오후 1시 호우경보가 발령됐고 아침부터 내린 비가 시간당 100mm가 넘는 집중호우로 변하면서 SNS에는 부산 집중호우 및 지하철 침수 내용의 게시물과 피해 현장이 실시간으로 올라오고 있다. 또...  
황기철 해군참모총장, UFG 연습 현장 '美 블루릿지함' 방문 file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은 25일 2014년 UFG 연습을 위해 부산 작전기지에 전개 중인 美 7함대 소속 블루릿지함(Blue Ridge, 상륙지휘함)을 방문해 전ㆍ평시 한미 해군의 긴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황기철 총장은 이날 블루릿지함에서 2014 UFG 연습현황을 청취한 뒤 美7함대사령관 토머스 중장(Robert L. Thomas)과 3해병 원정군사령관 위슬러 중장(John E. Wissler), 주한 美해군사령관 프란체티 준장(Lisa M. Franchetti) 및 주요 참모진들을 만나 韓·美 연합훈련과 해군력 현시를 통한 대북 억제력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황 총장은 이 자리에서 “동북아 안정과 북한도발을 억제하기 위해서 한미 간의 긴밀한 공조가 매우 중요하다” 라며, “앞으로도 양국 해군ㆍ해병대가 굳건한...  
마포 석유비축기지, 문화비축기지로 재탄생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마포구 매봉산 자락에 자리잡고 131만 배럴 석유를 담아뒀던 지름 15~38m, 높이 15m(5층 건물 규모)의 탱크 5개를 비롯, 1970년대 산업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 10만1,510㎡가 ‘문화비축기지’로 새 옷을 갈아입고 오는 2016년 문을 연다. 서울광장의 약 8배 이르는 대규모 공간으로, 2000년 용도폐기 돼 방치된 지 14년만의 탈바꿈이다. 서울시는 ‘마포 석유비축기지 국제현상설계경기’의 당선작으로 백정열[㈜알오에이 건축사사무소] 외 2인이 출품한 ‘Petro - Reading the story of the site(땅(石)으로부터 읽어낸 시간)’를 최종 선정했다고 25일(월) 발표했다. Petro - Reading the story of the site(땅(石)으로부터 읽어낸 시간)[사진제공=서울시 도시계획국 공공개...  
부산시, 신공항 건설에 목 매는 까닭은?
[어니스트뉴스=손시훈기자] 부산광역시(시장 서병수)는 영남지역 항공수요 예측과 5개 공항(김해․대구․울산․포항․사천공항)의 포화시점 전망 등을 통하여 장래 영남지역 공항 개발에 대한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지난해 8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시행한 영남지역 항공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과거 항공수요 예측치에 비해 항공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영남권 항공수요 및 영남권 기존 공항시설 포화시기 등을 감안한 결과, 신공항 조기 건설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입증되었다고 밝혔다. 국토부 영남권 항공수요예측에 2011년 3월 동남권신공항 입지평가 시 예측한 항공수요보다 크게 증가하여, 2025년에는 2,145만명으로 2011년 예측한 1,571만명 보다 574만명이 늘었다. ...  
현대차 월드랠리팀, WRC 첫 우승 쾌거 file
[어니스트뉴스=온라인 뉴스팀] 자동차 본고장 독일에서 열린 월드랠리챔피언십의 시상식장에서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현대차는 지난 8월 22일부터 24일(현지시간)까지 열린 ‘2014 월드 랠리 챔피언십’의 독일 랠리에서 드라이버 부문 1, 2위, 제조사 부문 1위에 오르며 출전 첫 해에 첫 우승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월드랠리팀은 지난 3월 멕시코 대회, 6월 폴란드 대회에서 잇따라 시상대에 오르며 선전을 해왔으며, 이번 우승은 팀을 결성한지 18개월, 대회에 출전한지 아홉 번 째 만에 이룬 성과이자, 한국 메이커가 FIA 주관 세계 모터스포츠대회에서 거둔 첫 번째 우승이다. 현대차 월드랠리팀은 목요일의 시운전 중 발생한 충돌사고가 발생해 랠리 참가여부가 불투명했으나, 18시간 만에 정비를...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